의 졸업 작품인 ‘말레비치의 텍토닉’은 말레비치의 ‘알파 아키텍톤’을 하디드만의 방식으로 재현한 것으로, 하디드가 초기부터 말레비치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하디드 ... 1차, 2차 전시회에서 각각 ‘플래니트’와 ‘아키텍톤’을 전시하면서 절대주의적 건축을 제시하였다. 절대주의적 건축의 의미는 이전에 미술의 영역에 국한되던 조각이 더 나아가 건축의 ... , 말레비치의 아키텍톤 작품들과는 다르게, 하디드의 작품은 주로 주어진 요소에서 유기체들을 가져오는 경우가 많았고, 이러한 방식은 이후에도 하디드의 설계에서도 실제로 구현되었다.3
카지미르 말레비치 , ‘ 절대주의 회화’ , 1915 동대문 디자인 플라자 자하 하디드 01 1-2 생각말레비치의 텍토닉 (Malevich’s Tektonik )’ (1976-77 ... , 아키텍토니카 모두 OMA 의 영향을 받아 공통적인 디자인을 추구함 특징 ① 이중적 양면성의 역설 - ⒜ 공상적 기능주의 : 철저한 기능주의적 계획 추구 ⒝ 비합리적 합리주의
b y Santiago Calatrava+ Architect ; SANTIAGO CALATRAVA + Who is he? + About his architectural philosophy maximization of structural beauty secure of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