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F몰 이벤트
  • 파일시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아 개념 지도 방안 연구

오웬의정원
개인인증판매자스토어
최초 등록일
2023.02.28
최종 저작일
2023.02
135페이지/파일확장자 어도비 PDF
가격 5,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아 개념 지도 방안 연구"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차

I. 국문초록

II. 목차

III. 표목록

IV. 그림목록

V. 제1장 서 론
1. 연구의 내용
2. 연구의 방법

VI. 제2장 이론적 배경
1. 제1절 시각 문화 교육(VCAE)
1) 미술 교육 이론의 발전
2) 시각 문화 교육
2. 제2절 자아 정체성
1) 자아 정체성의 개념
2) 자아 정체성의 발전 모형

VII. 제3장. 미술에서 ‘은유와 상징’ 의 활용
1. 제1절 정물화의 은유(metaphor)와 상징(symbol)
1) 유럽 회화에서 정물화의 개념과 역사
2) 17세기 네덜란드 정물화
3. 제2절 초현실주의 회화에서 은유와 상징
4. 제4절 한국화에서 은유와 상징

VIII. 제4장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아 개념의 수업 지도 방안 연구
1. 제1절 수업 설계 및 평가
1) 교수·학습 지도안
2) 수업 실행
3) 평가
2. 제2절 결과 분석
1) 성취 수준- 평가 준거의 적용
2) 상: 학생 A의 미술 학습지와 작품 분석
3) 중: 학생 B의 미술 학습지와 작품 분석
4) 하: 학생 C의 미술 학습지와 작품 분석
3. 제3절 자아 정체성의 발전에 있어 미술 교육의 역할
1) 연구의 제한점
2) 교육적 기대 효과
3) 개선 방안

IX. 제5장 결 론

X. 참 고 문 헌

XI. ABSTRACT

본문내용

본 연구는 2015 미술과 교육 과정 개정안의 성취 기준에 따라 자아 개념 형성을 위한 수업을 설계·시연하고 자아 정체성 이론의 해석을 통 해 자아 정체성 발전 모형을 구성하였고, 미술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자아 개념 발전을 평가하고 나아가 수업 실행을 반성하기 위한 연구이 다. 추상적인 미술 교과의 교육 목표인 성취 기준을 미술 수업 현장을 통해 구현함으로써 학생들의 자아 인식을 촉진하고 이를 넘어 수업의 결 과를 분석하여 자아 탐색을 위한 미술 학습에 대한 의미를 재고하고 수 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미술 과 성취 기준을 적용하여 학생들의 자아 탐색을 촉진할 수 있는 미술 수 업의 구성과 실행 방안은 어떤 것인가? 두 번째, 미술과 수업에서 자아 정체성은 무엇으로 정의될 수 있는가? 세 번째, 자아 정체성의 발전을 판단하고 평가할 수 있는 미술 학습의 결과는 무엇인가?
연구 방법으로 교사의 실천가이자 연구자로서 역할과 학생들의 연구 참여자로서 역할을 강조하는 참여적 실행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행 연구 의 적용은 자아 인식의 형성과 자아 탐색을 촉진하는 미술 수업을 계획 하고 수업을 실행하여 이를 반성하며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안할 방 법을 제시해주었다. 조재식(2002)이 제시한 실행 연구 과정에 따라 다음 과 같은 연구 과정을 계획하고 진행하였다.
첫 번째, 준비 단계에서는 성취 기준의 분석, 성취 기준에 따른 이론 적 배경, 수업 설계 원리, 학습 자원들에 대해 자료를 수집하고 체계화하 여 수업 설계를 위해 필요한 기초 자료들을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두 번째, 계획 단계를 통해 첫 번째 단계에서 수집한 자료와 함께 연 구 학교의 교육 과정과 학습자를 분석하여 자아 탐색을 촉진하기 위한수업안을 작성하고 실제 활용될 평가 도구와 학습 자료를 제작하였다.

참고 자료

교육부. 「미술과 교육 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3], 2015.
김진용, 남주헌, 박경영, 손상철, 이해권, 조성태, 홍길회, 「창의적 문제 해결 기법」, 서울: 아트하우스, 2015.
남정덕, 김혜리, 이소영,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1. 서양 미술사· 디자인사」, 서울: 미진사, 2020.
남정덕, 김혜리, 이소영, 「남들은 모르는 미술 전공 이론: 2. 동양 미술사·한국 미술사·동양 표현」, 서울: 미진사, 2020.
박아청,「정체감과 교육」, 파주: 교육과학사, 2015.
이용숙, 김영천, 이혁구, 김영미, 조덕주, 조재식, 「실행 연구 방법」, 서울: 학지사, 2020.
이주연, 김성숙, 김정희, 김형숙, 김혜숙, 안금희, 이성도, 정여주, 황연주, 「미술 교육과 문화 4판」, 서울: 학지사, 2020.
이화수, 「교양 시리즈 Ⅳ 대학생과 자아 개발」, 경기도: 아주대학교 학생 생활 연구소, 1990.
임은영, 임경미, 이상곤, 박지원, 류재인, 나은수,, 주정미, 김미경, 김덕희, 김재정, 민문순, 김기중, 나은경, 「학습과 성장을 돕는 과정 중심 평가」, 전라남도 교육청, 2016.
정순례, 이병임, 조현주, 오대연, 「학습 이론의 이해와 적용(2판)」, 서울: 학지사, 2021.
최순영, 「인간의 사회, 성격 발달 심리」, 서울: 학지사, 2017.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5 개정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평가 기준 개발 연구」, CRC 2017-05-12, 2017.
허혜경, 김혜수, 「청년 발달」, 서울: 학지사, 2010.
강인애, 이현민, 김양수, “온라인 박물관을 활용한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의 수업 사례: 맥락적 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을 중심으로”, 조형 교육, 제56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5.
김황기, “시각 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제16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3.
손지현, “시각 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오해와 미술 교육적 의미”, 미술교육논총, 제22권 제1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손지현, “미술 교육에서 창의성 신장을 위한 은유의 활용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7권 제1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3.
손지현, “미술교육에서 실행연구의 방향과 방법론에 관한 고찰”, 미술교육논총, 제40권,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5.
안인기, “시각 문화 교육의 정의와 담론 구분에 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제22권 제1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08.
이은적, “귀납적 사고법 교수·학습 모형에 대한 이해와 적용”, 미술 교육 연구 논총, 제27집,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이주연, 장연자, “차기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방법 제안”, 조형 교육, 제69호,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이재영, “시각 문화 미술 교육: 대중 문화 이미지와 즐거움”, 미술 교육 논총, 제24권 제3호,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10.
김형숙 외, 고등학교 미술. 서울: 교학도서, 2018.
심영옥 외, 고등학교 미술. 서울: 와이비엠, 2015.
조우호 외, 고등학교 미술. 서울: 미래앤, 2018.
조익환 외, 고등학교 미술. 서울: 씨마스, 2018.
강지수, “조선시대 민화의 상징성 응용", 석사학위논문,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9.
김수지, “초현실주의 표현 활동이 청소년들의 자아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김주원, “중학교 자유 학기제에서의 자아 정체감 발달을 위한 미술 교과 프로그램 사례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김태희, “색채를 활용한 자기 표현 수업 방안 연구 :청소년의 자아 정체감 함양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안소미, “사물의 상징성을 활용한 미술 수업이 자아 정체감 형성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이분숙. “아이스너 사상이 아동 미술 교육에 미친 영향에 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수원대학교 미술대학원, 2007.
이예진, “자기 표현 미술 수업이 자아 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고등학교 1학년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이하경, “초현실주의 기법을 활용한 상상력 발달을 위한 미술 교육 연구.", 석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Anderson, Tom. and Melody Milbrandt, 「삶을 위한 미술교육(김정희 외 4인 역: 원저 2002년 출판)」, 서울: 예경, 2007.
Duncum, Paul. "Clarify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rt Education", Art Education, Vol. 55(3), 2002.
Elliott, Anthony, 「자아란 무엇인가(김정훈 역, 원저 2001년 출판)」, 서울: 삼인, 2007.
Erikson, Erik. H.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1950.
Freedman, Kerry, "The Importance of student artistic production to teaching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Vol. 56(2), 2003.
Marcia, James. E. “Identity in Adolescence(pp. 159-187)”, In J. Adelson (Ed.), Handbook of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Wiley, 1980.
Marcia, J. E. “Common processes underlying ego identity, cognitive/moral development, and individuation”, In D. K. Lapsley & F. C. Power (Eds.), Self, ego, and identity: Integrative approaches (pp. 211-225). New York: Springer-Verlag, 1988.
McLean, Kate C. and Moin Syed, “The Field of identity development needs an identity: An introduction to the Oxford handbook of identity development”, In K. McLean & M. Syed, (Eds.) The handbook of identity development (pp. 3-4). N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
Tavin, Kevin. "Opening re-marks: Critical antecedents of visual culture in art education", Studies In Art Education, Vol. 47(1), 2005.
Valery, Paul, 「테스트 씨(최성웅 역; 원저 1946년 출판)」, 서울: 읻다, 2017.
Wiggins, Grant and Jay McTighe, Understanding by design,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8.
미술 대사전(인명편), 1998., 한국 사전 연구사 편집부
시사 상식 사전, pmg 지식 엔진연구소
세계 미술 용어 사전, 1999., 월간 미술
표준 국어 대사전
나무위키(https://namu.wiki/w/해탐노화도)
널 위한 문화예술(https://youtu.be/UrF_mgT1F3s), 죽음을 그린 예술가
널 위한 문화예술(https://youtu.be/FXIsT1vqypg), 달리는 왜 녹아내리는 시계를 그렸을까
한국 청소년 개발
(https://m.blog.naver.com/PostView.naver?isHttpsRedirec)
한겨레 인터넷, 사설 칼럼, [크리틱]이주은 | 미술 사학자·건국대 문화 콘텐츠학과 교수
(https://www.hani.co.kr/arti/opinion/column/1034375.html)
Freud, Sigmund, The ego and the id,
(https://www.sigmundfreud.net/the-ego-and-the-id-pdf-ebook.jsp)
오웬의정원
판매자 유형Bronze개인인증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은유와 상징을 통한 자아 개념 지도 방안 연구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