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론) 인유와 패러디가 표절과 어떻게 다른지, 1) 개념의 차이에 대하여 서술하고 2) 구체적인 시를 예로
- 최초 등록일
- 2021.08.11
- 최종 저작일
- 2021.08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과목명: 현대시론
과제명
1. 인유와 패러디가 표절과 어떻게 다른지, 1) 개념의 차이에 대하여 서술하고 2) 구체적인 시를 예로 들어 설명하시오. (30점)
2. 백석의 「남신의주유동박시봉방」(교재 p.75~76)을 거시적 읽기, 미시적 읽기, 맥락적 읽기의 방법으로 읽고, 그 읽은 내용을 자신의 언어로 표현하여 서술하시오.(40점) (반드시 세 가지 읽기의 방법을 모두 적용하여 읽고 서술하시오.)
목차
1. 인유와 패러디의 표절과의 차이점
1) 인유
2) 패러디
2. ‘남신의주 유동 박시봉방’ 읽기
1) 거시적 읽기
2) 미시적 읽기
3) 맥락적 읽기
4) 개인적 내용 서술
본문내용
시인이 작품을 창작하는 과정에서 전통적 문학의 문체, 양식, 소재를 빌려와 자신의 작품에 개성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때도 있고, 이러한 기법을 인유라고 하고 있다. 인유는 전통적인 방식을 인유 함으로써 자신의 작품이 가진 개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면에서 아이러니의 전략을 사용한 기법인 것이다. 전통을 부정하면서 독창성과 개성을 확보하기는 매우 쉬워도 전통적인 것을 의식적으로 계승하면서 동시에 독창성과 개성을 발휘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인유가 사용된 시는 표면적으로 전통을 계승하는 그것처럼 인식되지만, 전통을 다른 용도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전통에 관한 이중적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다.
서정주가 쓴 ‘춘향 유문’은 판소리 소설인 춘향전을 인용하는 방식으로 시의 독창성을 확보한 대표적인 작품으로 알려져 있다. 시를 창작하기 위해서 인접 장르인 소설을 빌린 것이다. 제목에서도 그러한 사실은 그대로 드러나듯이 이 시는 옥중에 갇혀버린 춘향이 한양에 있는 도련님을 떠올리는 마음을 작성한 유언의 형식을 띠고 있다. 죽음을 앞둔 여인의 간곡한 그리움의 감정이 표현되고 있다. 하지만 춘향전이라는 소설의 배경과 작품의 내용을 알지 못하는 사람의 경우 이 작품이 가지고 있는 독창성을 실감한다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시인과 독자는 공유하고 있는 전통이라는 맥락을 바탕으로 이 작품이 의도한 바를 제대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서정주의 ‘춘향 유문’은 춘향전의 상황을 그대로 가져와 과거의 여성이 남성을 대하던 문체를 그대로 사용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