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초격차부터 시장 선점까지,
‘K 반도체’의 다음 10년을 한발 앞서 만나다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생산기술연구원 출신으로, 66만 명의 구독자(누적 조회수 1억 5600만 뷰)에게 사랑받는 공학 유튜버 ‘에스오디(SOD)’ 권순용의 신간이다.
반도체 산업의 최전선에서 벌어지는 일을 한발 앞서 소개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K 반도체의 발목을 잡는 위기와 아직 드러나지 않은 기회를 모두 짚는다.
미·중 반도체 전쟁의 전황부터 한국 반도체 스타트업들의 활약까지, 책이 펼쳐놓는 흥미로운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위기를 기회로 바꿀 ‘K 반도체 대전략’과 만나게 될 것이다.
“2024년, K 반도체의 업턴을 기대하라!”
─
요동치는 글로벌 반도체 산업의 최전선에서
대한민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다!
격화되는 패권 경쟁부터 예정된 슈퍼사이클까지,
혼란한 시기에 길을 밝혀줄 명쾌한 로드맵
반도체 산업의 최신 소식을 쉽고 빠르게 소개해온 공학 유튜버 권순용의 신간이다. 세계적인 학술지들에 발표된 논문과 각종 경제 보고서, 지난 5년여간 진행한 산업계와 학계 전문가 인터뷰를 망라해 반도체 산업의 향방을 가늠한다. 특히 한국 반도체 산업의 위기와 기회를 모두 짚어보고, 도약에 필요한 로드맵을 그린다.
최근 2년여간 반도체 산업은 ‘역사적인’ 불황을 겪었다.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은 2022년에 전혀 성장하지 못했고, 2023년에는 -10% 이상의 역성장을 기록했다(168쪽). 그 직전의 슈퍼사이클이 워낙 대단했기에, 많은 사람에게 이 한파가 더욱 춥게 느껴졌을 것이다. 이 불황의 원인을 2022년의 러우전쟁이나 2023년의 팬데믹 종식 등에서 찾는 경우가 많지만, 책은 그 전인 2021년부터 은밀하게 진행된 미국의 반도체 전략무기화에 주목한다(8~10쪽). 이처럼 여러 원인이 복잡하게 얽히고설킨 탓에 반도체 산업의 불황은 쉬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액의 20% 정도를 차지하는 한국에 이는 큰 ‘위기’다.
하지만 저자가 바라보는 것은 ‘기회’다. 모두가 숨죽인 불황기에도 한국 반도체 산업은 혁신을 멈추지 않았다. 그 결과 매해 35% 이상 성장하는 인공지능 반도체 시장의 핵심 기술, 중국은 물론이고 미국조차 탐내는 가치 사슬 내 독보적 지위, ‘글로벌 스탠더드’ 수준에 이른 산업 정책 등을 갖추는 데 성공했다. 2024년 예상되는 한국 반도체 산업의 ‘업턴’이 어디에서 시작될지, 그 주역은 누구일지 등에 대한 실마리가 모두 그 안에 담겨 있다. 기술과 시장, 패권을 꿰뚫는 ‘기정학(technopolitics)’의 시선으로 ‘K 반도체’ 재도약의 면면을 한발 앞서 포착해낸 이 책에서 독자는 깊은 통찰과 지적 쾌감을 모두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오랜 기간에 걸쳐 진행된 대한민국의 군사화와 군사주의의 내면화를 정의에서부터 배경, 양상들까지 심층면접과 문헌을 통해 여성학적 시각에서 분석한... 그 대표적이고 핵심적인 내용이 징병제를 비롯한 군대 문제와 1980년대 학생운동이다. 저자는 이 문제들을 여성학적 시각에서 들여다봄으로써 기저에...
대한민국의 주류 세력이 어떻게 형성되었고, 어떻게 국가를 이끌어왔는가를 주로 다룬다. 이를 통해... 등 '대한민국'을 기획한 세력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다. 저자는 한국의 현실을 세 개의 틀로 분석하고, 그 준거 틀 위에서 과거와 현재를 연결하고, 대한민국을 주도해온 친일-친미-반공-성장 세력의 본질을...
자유롭고 정의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하여아리스토텔레스는 정의란 사람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주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렇다면 대한민국은 국민들에게 그들이 마땅히 받아야 할 것을 주는 나라인가? 이 책은 이와 같은 의문에서 시작되었다. 이 책에서는 지금보다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목돈사회』는 주거보증금, 권리금, 대학등록금, 경영자연대보증 등이 목돈으로 예시된다. 독자들은 한국의 부동산 문제에 관한 이 책의 탁월한 웅변 앞에서 지적인 무장해제를 경험할지도 모른다. ‘주거보증금이 해로운 여섯 가지 이유’는 이 책의 백미다. 낯선 사고를 체험하는 사람마다 감전된다. 한편 평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