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의 입장이다. 양명학 [陽明學] * 중국 명나라 중기에 태어난 양명(陽明) 왕수인(王守仁)이 이룩한 신유가철학(新儒家哲學). 송나라때 주자에 의해 확립된 성리학의 사상에 반대하여 ... 존천리 거인욕: 천리를 보존하고 욕심을 제거함. -> 격물치양지설 양지: 배우지 않고도 알 수 있는 것 양능: 배우지 않고도 할 수 있는 것 * 양명학에서는 희노애락이
왕수인에 의해 체계화된 양명학 명나라 시기에 새롭게 등장한 양명학은 명나라 중기 왕수인에 의해 체계화된 유학을 말합니다. 양명학을 일으킨 왕수인은 지식만을 강조하는 성리학에 대해 ... . 양명학 심즉리설을 기초 성리학의 성즉리설을 비판 격물치지의 원리를 주장 왕수인은 지식만을 강조하는 성리학에 대해 비판하면서 심즉리설과 지행합일설을 강조 하였습니다. 양명학
양명학과 동양철학사상사 - 육구연의 사상적 논의와 주자학의 대립적 해석을 중심으로 - 목 차 Ⅰ. 서 론 Ⅱ. 육구연의 사상 논의 Ⅲ. 양명학의 발흥 Ⅳ. 주자학과 양명학의 대립 ... 심학의 사상체계를 수립한 양명학의 효시가 되었다. 송학의 발당에서 육구연의 의의는 주자학의 이론 체계가 지닌 문제점을 간파하여 현실적으로 성리학이 야기 할 수 있는 논리적 모순을
인간의 심성을 탐구한 성리학과 양명학 성리학과 양명학은 각각 다른 시기에 발달을 하였지만 인간의 심성을 탐구한 학문이라는 점에서는 서로 유사한 면이 있습니다. 인간의 심성을 ... 탐구한 학문인 성리학은 남송시대에 주희에 의하여 성립이 되었고요 양명학은 명나라 시기에 왕수인에 의하여 성립이 되었습니다. 성리학과 양명학 성리학 남송시대에 주희에 의하여 성립 양명학
, 수리개발, 향약과 사창을 통해 지역사회의 질서를 유지시키는데 기여했다. ◆ 명대 양명학의 등장 양명은 사물의 이치를 탐구하고 배워서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다는 주자학의 방식을 ... 북송시대 여러 학자들의 이론체계를 남송시대의 학자인 주희가 에서 과 을 분리해서 ‘주자학’이라는 하나의 사상으로 집대성하였다. ▶성즉리(심성론) 주자학은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혐오를 멈추고 함께 상생하는 사회로 나아갈 수 있을까? 본 레포트에서는 현대사회, 특히 한국사회에서의 혐오문제를 양명학의 입장에서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해결책으로 돌봄과 공생의 ... 흐름 속에서 2016년 강남역 여성 살해 사건 이후 여성혐오 이슈는 혐오 담론을 증폭시키는 기폭제가 되었다. 3. 양명학의 입장에서 본 ‘혐오’ 양명은 치양지설을 통해 인간은
사캠학번: 소속대학: 성명: 주제: 양명학, 돌봄과 공생의 길 현대문명은 그 물질적 풍요에도 불구하고, ‘자연 생태계의 파괴’와 그로인한 전 지구적인 생명 위기를 낳았다. 그 ... 산업화 과정’과 ‘급속한 과학기술의 발전’을 꼽을 수 있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기존 문명 전환의 필요성을 상기하고, 어떤 문명으로 왜 나아가야 하는 것이 본 책, 양명학
, 역동혔다. 양명학에서의 인간은 천지만물의 마음을 가진 존재이다. 최고로 정밀한 기의 영명한 속성으로서의 마음을 소유함으로 중추적인 위치에 있게 된다. 이것은 인간중심주의 같이 인간과 ... 적인 견해들과 주장을 내놓았으며 그것을 행동으로 옮겼다. 양명은 30대에 용장으로 유배를 가서 격물치지, 심즉리설에 대한 깨달음을 얻고 주자의 주자 격물설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한다
왕수인에 의해 체계화된 양명학 왕수인에 의해 체계화된 양명학은 지식만을 강조하는 성리학에 대해 회의를 느끼고, 배우지 않고도 알 수 있는 양지를 주장하고 이것을 다스림의 중요성을 ... 강조하였습니다. 양명학 심즉리설에서 시작 치양지를 통해 완성 성리학에서 주장하는 성즉리설과 격물치지를 비판 양명학에서는 성리학에서 주장하는 성즉리설과 격물치지를 비판하였습니다
. 그때, 그의 나이는 57세로 1528년이다. 저서에는『문집』과『전습록』이 있는데 특히『전습록』은 그의 학설에 진수를 모아 놓은 것이라 하겠다. 2. 양명학의 주요 내용 왕양명이 ... . 왕양명의 학문은 처음 유학에 뜻을 두고 경사(經史)를 두루 탐독했으며 학설은 육구연과 진헌장을 중심으로 하는 심학을 받아들였다. 훗날 그의 양명학을 두고 주자의 성리학과 비교
시대에 양명학은 무슨 의미가 있으며, 독거노인 문제와 같이 코로나 이후에 더욱 취약해진 사회적 약자들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 줄 것인가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Ⅱ. 본론 ... 치유를 위하여 활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양명학에서는 돌봄과 배려와 치유의 근거를 양지에서 찾고 있으며, 양지는 바로 통각과 감통의 주체라 할 수 있다. 통각은 다른 존재물이 고난에
중국의 철학사 연구 - 명왕조의 붕괴와 청대의 실학사상을 중심으로 - 목 차 Ⅰ. 서 론 Ⅱ. 양명학과 주자학의 비판 Ⅲ. 역사적 실증사관과 경전의 중시 1. 왕부지의 기철학과 ... 변화를 불러왔다. Ⅱ. 양명학과 주자학의 비판 명(明)말의 극심한 사회적 혼란은 기존의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성을 불러일으켰다. 양명좌파의 주관성 강조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한
지행일치를 강조하는 양명학이 생겨나서 중심적인 유학이 되게 되고요 명나라에 이어 성립된 국가인 청나라 시기에는 현실주의에 초점을 맞춘 고증학이 발달을 하게 됩니다 중국 유학의 변천 ... 한나라때의 유학 경전을 해석하는 유학인 훈고학 송나라때의 유학 우주의 본성을 탐구하는 주자학 명나라때의 유학 지행일치를 강조하는 양명학 청나라때의 유학 현실주의에 초점을 맞춘
. 여기서 말하는 경은 정신을 통일하여 집중된 상태이다. 따라서 사회경제사상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예안향약에서 조금 드러날 뿐이다. 퇴계사상의 후대에 영향 첫 번째는 양명학에 대한 ... 공격이다. 왕양명의 『전습록』을 보고 비판한 『전습록논변』으로 인해 양명학이 우리나라에 뿌리내리지 못하게 되었다. 두 번째는 영남학파가 퇴계의 계보를 이었으나 퇴계의 학설을
생긴다. 특히 명말에 극심한 사회적 혼란은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성을 일으켰다. 이지(1527~1602)는 경전에 대한 비판과 극단적인 주관성 강조는 사회 혼란과 명왕조 멸망의 ... 나타나는데 이는 청대 학자들의 기본적인 관점이다. 둘째, 탈권위적 경전해석에 대한 비판으로 경전에 대한 강조가 나타나게 된다. 이 같은 경향이 확대되어 주자학과 양명학 전체의
이기 조선에 자리잡기 이전에 조선의 학계는 다양한 학문을 받아들이는데 경색되어 있지 않았다. 점차 육, 왕 같은 계열로 묶어 비판하는 움직임이 일어났고 사림의 대표학자 이황이 양명학 ... 을 공식적으로 비판하자 이것이 정설이 되었고, 양명학은 정통사상에 끼일 수 없게 됐다. 2. 양명학파의 성립과 전개 조선의 양명학파는 동강 남언경과 이요에게서 그 전조가 보였지만
사욕을어냈으며, 주자와 비교되어 많이 이야기 되고 있다. 양명학에서 주장하는 심즉리설은 심이 곧 우주 자연의 이법인 리와 일치한다는 것으로 사욕이 제거된 인간의 순수한 마음은 곧 ... 천리와 같다는 인심즉천리를 일컫는다. 양명학은 마음을 윤리의 중심 개념으로 삼고 인간이 지닌 마음의 절대적 가치를 먼저 긍정하고, 우주 만물의 모든 원리는 이 마음을 떠나서 있을 수
앎이니, 앎과 행함의 공부는 분리할 수 없다”는 지행합일설(知行合一說)이 제출된 것이다. 양명학은 중국에서는 귀적파(歸寂派)·수정파(修正派)·현성파(現成派)로 삼분(三分)되어 ... 발전되었다. 양명학이 한국에 도입된 시기는 17세기 무렵이나, 왕수인의 《전습록(傳習錄)》이 들어온 것은 중종 16년(1521) 이전으로 왕수인이 살아 있을 때이다. 그러나 그때 지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