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사로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격표지를 포함하여 조사 결합형과 명사적 ... 있었다. 그것은 한국어의 격표지를 명사의 곡용에 의한 격 어미로 해석하는 ... 사에 대응하여 주로 격을 표시하는 형태를 지칭하는 뜻으로 수용하였다. 그리고 ... . 그리하여 한국어 문법 연구에서는 그들의 후치사에 대한 기술을 수용하여 격
표지로 설명할 수 있는 경우를 살펴보았다. ‘관형격’의 개념을 넓게 ... 본다면, 중세국어의 사이시옷 중 관형격표지로 설명이 가능한 경우가 존재한다 ... . 관형격표지가 실현되는 환경은 관형격표지에 의해 결합되는 선행요소와 후행 ... . 따라서 중세국어 시기의 사이시옷 중 관형격표지가 실현되는 환경에서 ... 본고는 기존의 연구들에서 사이시옷으로 불리던 중세국어의 예들 중 관형격
이루므로 Ø 표지의 실현으로 해석되지만 대격의 비실현은 단순한 격표지 ... . ‘이/가’와 ‘을/를’은 격을 표시하는 동시에 ‘주제-초점 ... 의 비실현으로 볼 수 있다. 주격의 대립형으로서의 Ø 표지는 ‘이/가’의 이 ... 형태보다는 ‘이/가’, ‘께서’와 구별되는 또 하나의 주격 표지로 보는 ... 것이 더 합리적이다. 그러나 주격 표지로서의 Ø는 그 기능이 ‘이/가’와의
This paper investigated the L2 acquisition of Korean causative case marking and syntactic complexity by L1 English speakers. The nominative causee ca..
This paper discussed some issues related the argument structures of Korean Verbs
in the point of representations of Case Marks, is summed as follows:..
있어야 한다. ① 왜 ‘-이-’의 선행 명사구에는 격표지가 나타날 수 ... 한다. 3.1. 격표지 문제 먼저 (1가)의 첫 번째 항목인 격표지 ... 명사구에는 격표지가 붙을 수 없다. 아직까지 많은 학설들이 위와 같은 ... 격표지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내놓지 못했는데, ‘-이다’ 를 통사적 ... 있어서 일관된 관점을 지니지 못하였다는 점, 또 격표지 문제와 같은
들로는 위해서 말했던 ①어순을 포함하여, ②격표지, ③일치, ④수동문 ... ‘격표지’와 ‘일치’, 그리고 ‘수동문’에 대해 간략한 설명을 하는 ... 것으로 끝맺음을 하려고 한다. (3) 격표지 (case marking ... '라고 하는 격표지로, 목적어는 '를'이라고 하는 격표지로 각각 주어와 ... (2) 주격 조사 중출 현상 중출 현상이란 한국어 소유격 조사 ʻ의ʼ가
, 이 구문의 격표지 교체 현상을 면밀히 살피고, 격표지 교체 전후 ... 구문이 갖는 의미 차이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격표지 ... 가운데 격표지 교체를 보이는 구문의 유형을 파악하여 정리하였다 ... . 그리고 격표지 교체 전후 구문의 의미 차이를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각 ... 적으로 상호성이 드러나는 반면, ‘와/과’ 논항의 격표지가 교체된
Given that in Korean, morphological cases appear on arguments, it is tempting to suppose that every Case licensing must be identified by a morphologi..
The aim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ee case marking by Japanese L1 learners of Korean. Twenty Korean native speakers (NK) and 54 Japanese ..
This paper studies the case markers of nouns in Arabic. Arabic Scholars divides words into three parts of speech instead of eight, namely nouns, verb..
생략의 뜻 체언이 격표지 없이 다른 단어와 통합되어 어떤 자격을 갖는 현상을 ... . 국어의 경우 체언이 갖는 그러한 자격은 형태론적으로 격표지에 의해 ... 표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때로는 아무런 격표지 없이 체언 단독으로 ... 문제 1) 생략: 격표지를 단어로 인정하는 분석적 단어관의 문법체계와 ... 곡용표 속에서 이해 . 조사생략연구 어디까지 왔나 1. 격표지 비실현
홍용철(1994) has proposed a generalization regarding the distribution of Case markers in Korean, according to which a Case marker is obligatory on argum..
목적어의 격표지가 바뀌는 현상이 존재하는데, 중세한국어도 이와 같은 유형의 ... 표지로 볼 가능성도 있다. 이때 ‘로’는 도구격 조사로 서술어의 행위를 ... 중세한국어에는 세자리 서술어의 [대상] 논항에 부사격 조사 ‘로’가 ... 표지될 수 있었다. 여기에서 [대상] 논항이란 물리적 또는 추상적 이동의 ... 목적어에 ‘로’가 표지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현대한국어에는 없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