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법과 15세기 문법의 차이점 시작하는 말 15세기 국어와 현대국어의 문법 기술에 보이는 차이를 설명하라는 과제를 처음 보았을 때 어떻게 준비하고 써내려가야 하는지 사실 ... 15세기 국어와 현대국어의 차이점은 비통어적 합성어에서 나타난다. 현대에서는 비통어적 합성어가 임자씨로 형성되는 경우와, 풀이씨로 형성되는 경우, 두 가지로 나뉘는데 비하여, 15
’ 등이 있다. (10) 한도를 나타낸 어미에는 15세기에 ‘-?록’이었고 이는 16세기에 가서 ‘-도록’으로 일반화 되었다. (11) 정도의 더해감을 나타낸 어미로 ‘-ㄹ?록’이 ... 국어에서처럼 다양한 부동사어미가 있다. 부동사어미를 연결어미라고 부를 수 있는데 15세기 중세국어 연결어미에는 다양한 보조사가 붙어 그 의미를 구체화했다. 중세국어의 연결어미 자리에
Q. 15세기 국어와 현대국어의 문법기술에 보이는 차이를 기술하시오. 15세기 국어와 현대국어의 문법기술에는 차이가 존재한다. 자세한 차이를 살펴보기에 앞서, 15세기에서 지금에 ...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법 기술의 변화가 일어나게 된 요인을 염두해 두고 아래의 15세기 국어와 현대국어의 문법기술상의 차이를 살펴본다면, 이해가 좀 더 쉬울 것이다. 본격
15세기 국어의 시간체계 ※ 시간표현 1. 현재시제 1) 동사 어간+선어말 어미 ‘-?-’ [‘-?-’는 동사에만 결합] 예) 월인석보 23, 97 - 네 이제 ? 묻?다 ... 법이란 정해진 문법 형태소가 없이 [영형태]가 되어 다른 형태소와 계열을 이루어 문법적 기 능을 표시할 때, 즉 시제 표시 형태도 없이 문맥에 따라 일정한 시제가 표시되는 경우를
15세기와 현대 국어의 문법 차이 (가) 합성법 - 15세기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 다르게 ‘굶주리다, 낮보다, 넓둥글다, 높푸르다.’와 같은 비통어적 합성어들이 ... … (부처에 대해서 첫 아들이기에) (라) 때매김법 (ㄱ) 현실법 - 현실성이 강한 것으로, 말할이에게 파악된 사실을 표현하는 문법적 방법인데,「-?-」로써 표시된다. 예) 네
어로 변형되기도 했다. Ⅲ. 중세 국어 국어사에 있어 중세국어는 14,15,16세기이다. 14세기는 언어의 모습이 음운체계의 발달과정이나 문법적 성격이 변화된 시기이다. 중세국어의 ... 모음체계이지만 정확한 음가는 불확실하다. 1. 음운 및 문법 먼저 중세국어의 자음체계는 훈민정음이 창제된 15세기 중반을 그 중심으로 삼는다. 음소로서의 경음은 합용병서로
1. 서론 문법범주 실현방법이 변화하는 유형을 설정하여, 한국어의 문법범주의 실현방법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변화하여 왔는가를 밝히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15세기 한국어에서 현대 ... 실현방법의 변화 15세기 한국어에서 객체높임법은 주로 비종결어미 에 의해서 실현되었다. ① ㄱ) 벼슬 노? 臣下ㅣ 님그믈 돕?? (석보상절 9) ㄴ) 부?긔 請
i는 중립모음이었다고 본다. 중세국어의 이중모음에 대한 연구를 통해서는 고대국어에 15세기 이중모음들 외에 상향 이중모음으로 *y?, *y ??, 하향 이중모음으로 *iy가 있었을 ... 추측하기도 한다. 한편 경음 계열은 고대에는 아직 발달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이는 15, 16세기의 한국 전통 한자음을 포함한 모든 자료에서 경음의 흔적을 전혀 찾을 수 없기
1. 합성법 15세기 국어에는 현대 국어와 다르게 ‘굶주리다, 낮보다, 넓둥글다, 높푸르다, 오가다, 보살피다’와 같은 비통어적 합성어들이 ... 국어의 토씨 분류에서는 특수토씨 대신 물음토씨가 들어 있다. 16세기 국어 문법에서는 이들 다섯 가지를 모두 세웠다. 그렇다고 15세기에 특수토씨가 없었다는 것이 아니고, 마디연결
현대국어와 동일한 상태에 이르게 되었다. 2. 표기법 2-1. 표기법상의 혼란과 특징 15~16세기의 표기법이 왜 17세기에 와서 극도의 혼란을 보여주게 되었을까? 첫째, 임진 ... 제한된 사람들에 의하여 편찬된 문헌에 나타나던 엄격한 15세기 표기법이 문란해졌다. 둘째, 15세기 표기법의 전통을 지킬 수 없을 만큼 근대국어가 변화되었으며 임진왜란이라는 대
이 글은 15세기 국어에 쓰였던 ‘-아 지다/-아 지이다의 문법적성격을 밝히는 논문이다. 이전에 있었던 연구에서는 ‘-아 지다/-아 지이다’를 ‘지다’를 보조 용언으로 처리하는 ... .그리고 ‘지다’의 자체에 나타나는 문법적 특징뿐만 아니라, ‘지다’의 앞에나타나는 자립적 용언에 나타나는 문법적인 특징도 함께 살폈다. 이러한검토를 통해서 15세기 국어에 쓰인 ‘지다
재편되는 것이라 하겠다. 이 한양 중심의 중앙어는 15세기에 창제된 훈민정음을 맞이하여 많은 정음 문헌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또한 이 시기의 정음 문헌은 거의가 중앙의 간행 ... 대립이 전기 중세어를 지나며 이미 중화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② 모음체계 15세기 국어에는 ‘ㆍ,ㅡ,ㅣ,ㅗ,ㅏ,ㅜ,ㅓ’의 7개의 모음이 있었다. 훈민정음 해례에 나오는 모음 체계
. - 후기 중세국어: 15세기부터 16세기 말까지의 시기. - 전기 근대국어: 17세기부터 18세기 중반까지의 시기. 18세기 중기에는 여러 문법체계의 변화가 일어나므로, 근대국어를 ... 근대국어와 후기 근대국어로 세분해야 할 당위성을 주장했다. 고대국어 -9세기 말 전기중세국어 10세기- 14세기 말 후기중세국어 15세기- 16세기 말 전기근대국어 17세기- 18
한국어 시대에 15세기의 ‘ㅡ’에 대응되는 모음은 ‘ㅓ’와, ‘ㆍ’에 대응되는 모음은 ‘ㅏ,ㅓ,ㅜ,ㅣ’와 변별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러한 사실은 이 두 모음이 다른 ... 부분은 모음조화의 존재여부이다. 현존 자료에서는 고대한국어에서 모음조화의 흔적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15세기에 한국어에서 모음조화같은 현상이 발생한 이유는 추측건대 몽고
확립되 ? 只火乙 기블 라. ?斗 多里甫伊(里) 다리브리 이와 같은 어휘들은 15세기 이후의 국어 문헌에서 ‘ㅂ’이 ‘오/우’로 약화된 다음과 같은 표기로 각각 나타난다. (2) 중세 ... . 다리우리(훈몽자회 중-14), 다리오리(역어유해 하-15) 여기의 용례들은 (2-가)를 제외한다면 16세기 이후의 문헌에서만 찾을 수 있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들 어휘들이 15세기
과정이 나타난다. 15세기까지 ‘-거든’은 조건을 나타내는 표현으로 널리 쓰이는 연결어미였으나 16세기‘-으면’의 등장으로 점차 사용이 적어지는 양상을 나타내었다. 현대 국어에서도 ... 국어학 관련 레포트 주제 : '문법화'의 개념에 대해 서술하고, 한국어에서 문법화의 예시를 찾아 그 발전 경과를 기술하라.(어디서 왔는지, 어떻게 변했는지) Ⅰ. 서론 Ⅱ. 본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