던 카를로스 푸엔테스의 ‘테라노스트라 (Terra nostra)’ 또한 세 번이나 반복해서 읽어도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 많을 정도로 내용이 매우 낯선 느낌을 주었는데, 이중 ... ’, ‘라틴아메리카의 역사 (원제는 묻혀진 거울-스페인과 신세계에 대한 고찰)’, 그리고 이 레포트의 텍스트인 ‘테라노스트라’등이 있다.? Terra Nostra라틴 아메리카와 스페인 ... - 금욕에 사로잡힌 나의 육신과 정신의 억압’과 같은 이항대립쌍은 이 소설 ‘테라노스트라’의 첫 번째 장인 구세계 (El Viejo Mundo)와 세 번째 장인 또 다른 세계(El
일그러진 진주 그리고 라틴 아메리카-『테라노스트라』를 중심으로과 목 : 중남미 문학의 이해담 당 :학 교 :학 과 :학 번 :이 름 :Ⅰ. 중남미의 바로크 - 제 3의 미학“신 ... . 『Terra Nostra』카를로스 푸엔테스(Carlos Fuentes)의 장편 소설 『테라노스트라』는 구세계 (El Viejo Mundo), 신세계(El Mundo Nuevo) 그리고 또 ... 의 존재인 양성인간으로의 재창조 과정을 통해 전통적 멕시코의 이원적인 세계관에 카발라의 삼원구도를 접목시킨 삼원적 세계관을 제시함으로 결말을 맺는다. 그렇다면 그가『테라노스트라
Terra Nostra 감상문? 들어가며)“푸엔테스는 인문주의자의 한 사람으로서 이들 작품들 속에 세계문학과 철학, 역사, 인류학, 그림, 음악, 과학, 영화 등 수많은 분야를 혼합, 용해시키고 있다.”사실 ‘멕시코의 바로크와 근대성’을 읽고는 위의 말과 같이 푸엔테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