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 인원에 값 하듯, SF로부터 시작한다. 1902년에 제작된 조르주 멜리에스의 첫 영화 은 쥘베른과 H.G.웰 즈의 소설을 토대로 만든 것이며, 이것의 속편인 은 쥘베른의 소설을 각 ... 있다시피 은 그 이후 수많은 영화들의 직접적인 소 재로 채택되었다. 앞서 이야기한 쥘베른의 작품에 근거한 멜리어스의 영화를 제외하면 50년대 이전에 만들어진 몇 안 되는 SF
면서 창작되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하다. 그렇지만 본격적인 의미의 과학소설로 보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진 작품이다.이 작품이 나온 후에 본격적인 의미의 과학소설을 쓴 인물은 프랑스의 쥘 ... 베른느 Jules Verne(1828-1905)이다. 그는 (1864)를 통해 지하세계, (1863)을 통해 공중, (1870)를 통해 바다속의 세계 (1865)를 통해 달세계라는 ... 공간의 확장을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과학소설의 개척지라 할 수 있다. 특히 그의 작품은 아동들에게 인기를 끌었다.베른느가 공간의 확장을 시도한 작가라면 벨라미는 시간의 확장을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