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윤휴의 『독서기(讀書記)-대학(大學)』에 대해 살펴보았다 ... . 필자는 윤휴의 『대학』해석을 고학적(古學的) 입장으로 생각할 수 ... 있다는 제3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윤휴가 강조하고 있는 ‘실천’은 ... 실천중심의 원시유학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윤휴는 『대학장구 ... (大學章句)』에서 고본「대학」으로 돌아가려고 한 것이다.윤휴는 『대학』의
백호(白湖) 윤휴(尹?)의 정책 * 목차 * Ⅰ. 머리말 Ⅱ. 윤휴 ... 의 북벌론 Ⅲ. 윤휴의 정치제도론 Ⅳ. 윤휴의 대민책 1) 윤휴의 경제 ... 정책 2) 윤휴의 사회 양민론 Ⅴ. 맺음말 Ⅰ. 머리말 17세기 조선은 ... 윤휴(1617-1680)는 이러한 조선의 상황을 타개해 나가기 위해 여러 ... 학자이다. 윤휴는 주자학의 관념론적 사고방식을 비판하면서 17세기 조선
제시했던 인물이 있었다. 바로 윤휴였다. ? 윤휴에 대한 당대의 평가를 보자 ... . 우선 첫번째는 효종실록의 기록이다. ? 윤휴는 소싯적부터 글을 읽어 ... 있어 늘 경륜의 소유자로 자임하였다. 다음은 윤선도의 평가다. ? 윤휴 ... 평처럼 윤휴는 학문을 하는데 있어 주자의 견해를 비판적으로 수용했다. 이를 ... 바탕으로 그는 주작학과는 다른 사상체계를 구축했다. 윤휴는 중용해설에서
근본이 되고 교화의 바탕이 된다. 윤휴는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부분이 ... (傳)으로 이해한다. 윤휴는 『효경』을 사친(事親)의 도리를 담고 있는 ... 경전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윤휴가 말하는 사친의 도리는 다름 아닌 효도이다 ... 근본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파악한다. 윤휴는 천하의 달도(達道)는 오륜이고 ... 것이다. 윤휴는 이러한 오륜·삼강·효에 대한 구체적 실천 조목을 담고
윤휴와 침묵의 제국 도입 조선시대 붕당의 폐해로 아깝게 죽은 사람이 참 ... 가인 백호 윤휴가 아닌가 한다. 그는 경기도 여주 집 옆에 있던 백호(白湖 ... 』를 통해 윤휴의 이력을 개략적으로 알고 있었지만, 이 책을 읽은 것은 ... 윤휴라는 인물의 매력 때문으로 그에 관해 좀 더 알고 싶어서였다. 이 ... 있는 것 같다. 이전 작품인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와 『윤휴와 침묵의
, 윤휴는 『중용장구』의 33장 체제 및 4대지로 나누어 보는 설을 따르지 ... . 주자의 분장은 고본의 분절과 다른 점이 많은데, 윤휴는 고본보다는 주자의 ... 윤휴의 해석은 주자의 해석과 교집합에 해당하는 부분이 상당수 있음을 발견할 ... 수 있다.요지파악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윤휴는 주자가 제1대지로 본 ... 세분하였다. 주자가 제4대지로 본 제33장을 윤휴는 제10장으로 보고 그
이 논문은 을 「독주례(讀 ... (白湖) 윤휴(尹?)는 17세기 서인(西人)과 남인(南人) 사이의 1, 2차 ... . 특히 윤휴는 17세기 예송논쟁의 와중에서도 조선 사회를 개혁하고자 하였으며 ... 것이다. 즉, 「독주례」는 윤휴가 『주례』를 이해한 독서기라면, 「만필」은
조선시대 경학사에서 윤휴는 이전의 유학자와는 다른 사상적 특징을 ... 보여준다. 즉 윤휴는 기존의 주자학적 경학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독자적인 경학을 ... 구축하고 있다. 이러한 윤휴의 독자적 경학을 잘 보여주는 것이 그의 ... 『讀書記ㆍ中庸』이다. 특히 윤휴는 『讀書記ㆍ中庸』에서 하늘[天]에 대한 ... . 그 핵심적인 내용이 바로 ‘畏天’이다. 이 ‘畏天’ 개념은 윤휴 이전
학을 반대한 윤휴윤휴의 생애 출생-사망 : 1617~1680 자 : 희중 ... 시작했다. 윤휴의 사상 주자에 대한 관점 윤휴는 성리학 사상만이 완벽한 ... 나올 실학자들의 밑거름이 되었다. 북벌론 윤휴는 조선에 필요한 것은 빠른 ... 있었다. 윤휴의 북벌 주장은 실질적인 정책과 연관하여 추진되고 있었다고 할 ... 수 있을 것이다. 윤휴의 저서 주요저서에는《독서기(讀書記)》가 있는데
- 인물평전 : 윤휴(尹?) - 목차> Ⅰ. 들어가면서 Ⅱ. 윤휴 ... 의 저술활동과 그에 대한 자료 Ⅲ. 윤휴의 생애 Ⅳ. 윤휴의 사상 성향 Ⅴ ... )』해제(解題)하면서 알게 된 윤휴는 박세당과는 탈주자학파(脫朱子學派)로 ... 중점을 두었다면, 이번에는 윤휴의 삶과 사상을 알아보고, 그가 살던 시대의 ... 흐름과 그가 추구한 학문의 성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Ⅱ. 윤휴
연구이다. 윤휴가 말하는 ‘원두(原頭)’란 하늘의 근원성, 즉 천명이고 ... , 지근은 인도가 된다. 윤휴의 해석에서 천명은 고원한 세계에 따로 존재하는 ... 접근할 수 있다는 것이 윤휴의 생각이다.그가 원두와 지근을 일원으로 ... 문제인 지근이 훨씬 중요하다. 이러한 윤휴의 『중용』 해석은 자발적이고 적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