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의 질서를 유지시키는데 기여했다. ◆ 명대 양명학의 등장 양명은 사물의 ... 나라가 몰락한 원인을 진나라가 권력을 공적인 것이 아닌 사사로운 것으로 여겼기 ... 집권층에 반대하였고 자신의 정치철학을 정당화하는 철학적 논리를 에서 빌려 ... 여기서 ‘무위’는 자연의 필연적 법칙에 적절히 개입하는 인간의 실천을 ... 흐르는 것이 자연적인 법칙이고 이때 물길을 동쪽으로 트는 것은 흐름에
하곡 이후 조선의 양명학은반주자학적인 학문으로 등장하여 실학사상 등 현실 ... 의 폐단에 의한 당시 사회의 현실적 모순을 극복하기 위해 중국 양명학 ... 지향적인 사고로 형성 발전된 사상이 조선의 양명학이라고 할수 있다 ... 조선에서의 양명학은 이단이나 잡학으로 비판되고 배척되는 시련을 겪으면서 ... 뿌리를 내리기 시작하였다. 이렇게 수용되기 시작한 양명학은 하곡
양명학의 지행합일 (知行合一) Ⅰ. 지행합일의 정의 지행 ... 명학의 양명학이였다. 유배생활을 하면서 그는 양명학을 탄생시켰는데 마음을 ... 중시하는 심즉리설을 양명학의 근간으로 삼았다. 양명은 인간이 태어날 ... 도달한다면 양명학은 이미 알고 있는 것이 자연히 행하면서 도달할 수 있는 ... 의 기존체제는 위협을 받았다. 이렇게 기존의 질서와 다른 양명학은 사회질서를
‘천지를 경영하기 위한’ 실질적 학문이라 생각했다. 성리학과 양명학 ... 주관성을 강조했던 양명학의 틀에서 벗어나, 객관적 실용적 성격의 기철학적 ... 혼란은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반성을 일으켰다. 이지(1527~1602)는 ... 강조가 나타나게 된다. 이 같은 경향이 확대되어 주자학과 양명학 전체의 ... 경시하는 일부 양명학자들의 관점에 대해서는 비판을 했다. 황종희는 유교
경향을 이해하였다. 결과적으로 명나라 사행에서의 양명학 논쟁 경험이 일본 ... 명나라에서 성행하던 양명학도 매우 이른 시기에 조선에 전래되었다. 그런데 ... 이 양명학 역시 주자학의 선명성을 드러내는 과정에서 이단성이 ... 조선인은 명나라 학자와의 논쟁을 통해 양명학의 공부 방식이 참선의 방식과 ... 유사함을 지적하였으며, 양명학은 선학(禪學)이라는 명제는 조선 학자들
- 목 차 Ⅰ. 서 론 Ⅱ. 양명학과 주자학의 비판 Ⅲ. 역사적 실증사관과 ... 효과가 있었으며 동시에 사상적 비판과 변화를 불러왔다. Ⅱ. 양명학과 주자학 ... 의 비판 명(明)말의 극심한 사회적 혼란은 기존의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 주자학과 양명학 전체의 형이상학적, 사변적 성향을 비판하게 된다. 청대 ... . 고증학考證學과 공양학公羊學 1. 고증학考證學 주자학과 양명학에 대한
일어났고 사림의 대표학자 이황이 양명학을 공식적으로 비판하자 이것이 ... 형태로 계승되었다. 공개적으로 양명학을 논의할 수 없었지만, 하나의 ... 정설이 되었고, 양명학은 정통사상에 끼일 수 없게 됐다. 2. 양명학 ... 파의 성립과 전개 조선의 양명학파는 동강 남언경과 이요에게서 그 전조가 보였지만 ... 물리, 생리, 진리로 나누어 설명했다. 3. 한국 양명학의 특성과 의의
도로 치닫는 조선 사상계에 일정한 문제를 제기하였던 점, 양명학적 사유의 시대적 ... 은, 류성룡이 임란을 거치면서 주자학에 바탕한 양명학적 실천력을 확보하는 데있어 ... , 노수신은 이언적 찬술의 『大學章句補遺』를 통해 그에게서 양명학적 ... . 이처럼 양명학에 대한 수용과 비판, 그리고 비판적 수용을 통해 한국 ... , 양명학에 대한 인식의 태도 및 경세론이 사뭇 다르게 나타났다. 주자학
, 앞의 결과로, 근대로 나아갈 수 있는 실천적이며 우수한 학문인 양명학 ... 인물은 양명학과 양명학자)은 부재했기에 조선은 자체적으로는 근대화에 ... , 이 논문은 ‘한국양명학의 시원’으로서 소재 노수신 평가에 대한 기초적 ... 형성된 ‘한국 양명학’ 記述의 방법론에서 최초의 양명학자는 ‘남언경, 이요 ... ’ 아니면 ‘장유, 최명길’이었다. 소재를 최초의 양명학자로 규정한 경우는
매우 주자학적이다. 그의 시에서 간혹 양명학적 소신이 드러날뿐이다. 간혹 ... 보이는 그의 양명학은 그의 주자학과 모순이라 보기 어렵다. 주자학적 본체 ... 만물일체설과 다르지 않다.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은 곳에 양명학이 숨어 ... 있다. 그러므로 모든 주자학자는 잠재적으로 양명학자일 수 있다. 노수신은 ... 주자학적 본체론의 깊이에 침잠함으로써 양명학과 만난다. 그의 『인심도심변
. 이 세 과정에서 양명학은 실천적 삶의 양식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 정주학과 양명학을 종합하려는 입장으로 이해 할 수 있다. 나아가 유교적 ... 수 있다. 결론적으로 양명학의 `영명`과`친민`의 개념이 유교적 그리스도 ... 본 연구는 그리스도교가 조선에 토착화되는 과정에서 양명학이 조선유학에 ... 하였다. 명말 중국 예수회 선교사들의 한역서 저술작업에 양명학자들이 참여한
) 주자학의 가치와 문제점 4. 양명학의 주인공 왕수인: 본성에서 마음으로 ... ’ 3) 앎과 실천은 본래 하나다 ’지행합일’ 4) 양명학의 가치와 문제 ... 평가가 있다. 4. 양명학의 주인공 왕수인: 본성에서 마음으로 왕수인의 ... 호는 양명이며 그의 학문을 ‘양명학’이라 한다. 그는 글읽기보다 말 ... . 성리학의 완성자 주희: 천리(天理)를 실현하는 도덕적 인간 1) 우주론의
. 본고에서는 양명학의 신체관을 살펴보고 이에 담긴 체육적 가치가 ... 양명학은 주자학과 더불어 송명 리학(理學)을 대표하는 유학의 한 ...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자학에서 성즉리(性卽理)를 주장하는데 대하여 양명학 ... 학파이다. 송명리학의 목표는 우주의 보편적인 리(理)가 무엇인가를 규명하는데 ... 에서는 심즉리(心卽理)를 주장하고 있다. 비록 양명이 심즉리를 주장하고
것과 같았다. 양명학은 공부를 ' 사람의 기본적인 삶'에서 분리하지 ... 공부에 미친 사람들-주요 내용 요약 1. 양명학에서의 입지, 근학 ... , 개과, 책선의 각각의 의미와 진정한 공부 양명학은 '입지(立志)', '근학 ... . 각각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이며, 양명학에서 말하는 '진정한 공부'에 ... 사상이 담겨 있다. 2) 양명학에서 말하는 '진정한 공부'란 무엇인가 양명학
)관계에 나타난 霞谷(하곡)의 양명학적 입장 -1)誠齋(성재) 閔以升(민이승 ... (남계)에 대한 陽明學(양명학)적 입장 “竊以爲天理卽性也。 仁義禮智是也 心性 ... : 주자의 新民(신민)에 대한 해석을 둘러싸고 陽明學(양명학)적 입장으로 ... 霞谷 鄭齊斗 -스승과 벗들과의 서간을 통해 드러난 하곡의 양명학에 대한 ... 하며 윤증(尹拯)·정제두(鄭齊斗) 등 학자들과 서신 교류를 하고, 양명학
본 연구는 서계의 『사변록 중용』 주석에 나타난 양명학적 양상을 ... 관심을 가진 개방적 학문관을 소유한 학자이다. 그는 양명학이 조선에 유입되기 ... 시작한 초기에 살면서 최명길 등 양명학자들과 직접 또는 간접적 ... 으로 교유하였고, 양명학에 호의적인 태도를 보였다.서계의 『중용』 주석에서는 양명학 ... 인식하였고, 체와 용은 일원으로 분리할 수 없다고 하였다.서계의 양명학적 『중용
본 연구의 목적은 『양명학연론』을 중심으로 위당 정인보 사상의 양명학적 ... 연구를 통해 정인보사상에서 엿볼 수 있는 양명학적 특징들을 고찰한 뒤 ... 제2장에서는 정인보의 양명학적 특징들 중 첫 번째로 `허실론(虛實論 ... 그의 사상을 교육학적으로 풀이한 연구는 거의 없다. 이에 논자는 본 ... 특징들을 살펴보고, 이로부터 도덕교육적 함의를 도출하는 것이다
통해 양명학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양상을 검토하고, 궁극적으로는 조선 시대 ... 양명학적 학문관을 바탕으로 전개되는 인심(人心)과 도심(道心)에 대한 ... 또한 주자학적 학문법과 양명학적 학문법의 차이를 알 수 있는 부분이다 ... . 이를 통해서 양명학이 유입된 초기에 이황(李滉)이 양명학을 부분적 ... 16세기 초 조선에는 『전습록』의 유입과 더불어 양명학(陽明學)이 전래
양명학의 의의, 양명학의 시대적 배경, 양명학의 양지론, 양명학 ... . 개요 Ⅱ. 양명학의 의의 Ⅲ. 양명학의 시대적 배경 Ⅳ. 양명학의 양지론 ... 아니라 이 시기 학문은 붕당정치의 사상적 토대가 되기도 하였다. 양명학 ... 무성한 다소 기형적인 양상을 보이고 있다. 스스로 양명학자라고 표방한 ... 사람도 없었는데 양명학에 대한 비판이 많았다는 사실은 주자학자들의 예방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