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통사의미연구 현대국어 속격조사 Ⅰ. 서론 국어의 조사는 통사와 의미 부문 전반에 걸쳐 관여되므로, 구문론(Syntax)에서 조사에 대한 연구가 차지하는 부분은 대단히 ... 있으나, 속격조사는 체언과 체언을 결합시키고 있으므로 다른 조사에 비해 그 구조적 특성이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속격조사에 대한 개념과 쓰임 및 그 기능에 대해서
격조사 연구 -주격, 속격조사를 중심으로 Ⅰ. 서론 중세 국어의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뉜다. 그중 격조사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속격 ... , 부사격, 호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본고 에서는 주격조사와 속격조사를 중심으로 연구하여 중세의 표기법은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지 고찰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Ⅱ-1. 주격조사
제 8장 격과 조사 - 주격·대격·속격·처격조사 Ⅰ. 서론 1. 격조사의 정의 격조사가 격(格)을 담당한다고 할 때 격조사의 지위와 격의 개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이 ... 본론에서는 격조사 중 주격·대격·속격·처격조사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Ⅱ. 본론 1. 주격조사(主格助詞) 1) 주격표시의 형태 (1) 주격조사란 그 조사가 결합된 명사나 명사 상당의
적으로 결합 할 수 있다. ? 앞에 오는 다른 말의 형태를 바꾸는 경우도 있음 조사의 종류 격조사 : 문법적 관계를 표시 - 형태중심 (주격, 속격, 대격) - 통사 의미적인 기능 ... 제8장 조사와 어미 8.1 조사 8.1.1 조사의 특징과 종류 조사의 정의 자립성이 있는 말에 붙어 그 말과 다른 말과의 관계를 표시하는 품사 혹은 자기가 가지고 있는 고유한
중세국어의 격조사 1. 서론 중세 국어의 조사는 격조사, 접속조사, 보조사로 나뉜다. 그중 격조사는 주격, 서술격, 목적격, 보격, 속격, 부사격, 호격으로 분류할 수 있다 ... (나) 속격조사의 특이한 용법 첫째, 주어적 속격의 자리에는 ‘-ㅅ’이 쓰일 환경이라도 ‘?/의’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 믈윗 衆生이 種種 분벼?l 보채요미 ?외야 → 무정체언
, 대격, 속격, 처격, 구격, 공동격의 조사 ? 특수조사 8.2. 주격조사 (‘이/가’, ‘께서’, ‘에서’) 그 조사가 결합된 명사나, 명사 상당의 구나 절이 그 문장의 주어임을 ... 어를 지배하게 한다. 이 때문에 ‘의’는 관형격조사라 불리기도 한다. 속격이 가능한 경우 속격이나 소유격은 일차적으로 한 명사가 다른 명사에 소속되는(또는 소유되는) 관계에 있음을 나타내
?미니 : 사ㄹㆍㅁ(명사)+이(계사)+-니(종속적 연결어미, 원인) 世間(세간)앳 ?들 그치고 현대어 번역 세상의 뜻을 끊고 형태소 분석 世間앳 : 世間(명사)+애(처격조사)+ㅅ(속격 ... 여기는 행적을 한다 하는 뜻이니. 형태소 분석 慈悲ㅅ : 慈悲(명사)+ㅅ(속격조사) ?뎌글 : ??Z(명사)+을(대격조사) ?다 ?논 : ?-(동사어간)+-다(평서형 종결어미
좀 특수하다고 할 만한 용법이 있는데 이른바 동족목적어이다. 그 외에도 대격조사의 쓰임 중 한 문장에 두 개의 대격조사가 쓰이는 현상인 대격조사의 중출 현상이 있다. 4. 속격 ... 조사 명사와 명사 사이에 나타나 두 명사를 더 큰 명사구로 묶어 주는 기능을 한다고 하여 속격조사, 또는 소유격조사라 부른다. 속격이나 소유격은 일차적으로 한 명사가 다른 명사에
조사 ’-ㅅ‘의 변화 ① 근대 국어에서는 속격조사의 기능을 잃어버리고 합성어 속의 ‘사이시옷’으로 나타남. ② ‘사이시옷’의 기능은 단순한 음운론적 사실 이상의 것으로 보임. 예 ... ) 나무집(나무 파는 집)~나뭇집(나무로 지은 집) 3) 속격조사 ‘-의’와 여격의 ‘-에게’ ① 중세 국어에서는 유정물 명사에만 연결되었음. ② 현대 국어에서는 ‘-의’는 무정
격으로 회복되기는 불가능하다. 즉 (1ㄱ)의 ‘영이’가 공동격 성분이라면 공동격조사는 생략될 수 없다. 주격이나 대격, 속격에 비해 처격이나 조격은 문장구조에 얽매이는 힘이 약하기 ... 격조사생략 . ‘조사 생략’ 개관 (1) 조사 생략의 뜻 체언이 격표지 없이 다른 단어와 통합되어 어떤 자격을 갖는 현상을 말한다. 체언이 다른 단어와 통합될
목적격조사를 갖고 나타나기도 한다. (다) 속격조사(관형격,소유격조사) ∴ ‘ㅅ, ?/의//ㅣ’ 격은 원칙적으로 명사가 서술어에 대해서 가지는 관계를 나타내주는 문법범주이다. 이 ... 점에서 속격은 격 중에서 예외적인 존재다. 명사와 명사사이의 관계를 나타내 주는 일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중세국어의 속격조사는 ‘?/의’와 ‘ㅅ’으로 대표된다. 속격조사가 나타나는
의 생략)와 격조사의 의미양상에 대해 주격조사, 대격조사, 속격조사를 중심으로 논하였다. 《본론》 1.주격조사- ‘이/가’, ‘에서/께서’ 조사가 결합된 명사나, 명사 상당의 구나 절이 ... 지니는가에 따라 Ø속격의 의미기능은 달라진다. 예(79),(80),(81)를 보면 명사가 -사람,+무생물일 경우 중의적인 의미 양상을 갖지 않음을 알 수 있다. 4. 처격조사- ‘에
. 예를 들어, ‘곳믈’(콧물)의 ‘ㅅ’은 현대국어에서는 합성어의 표지인 ‘사이시옷’으로 불리지만, 중세국어에서 ‘ㅅ’ 속격조사이므로 이는 통사적 합성어가 된다. 6. 다음 의 동사 ... 의 결합한 . 이때 속격조사 ‘ㅇㆎ/의’와의 결합형인 ‘ㅇㆎ/의그ㅇㅔ’등은 평칭, ‘ㅅ’과의 결합형인 ‘ㅅ그ㅇㅔ’등은 존칭의 여격조사이다. ‘(으)로’에 해당하는 것으로 ‘향격조사
, 속격조사, 공동격조사, 비교격 조사, 호격조사로 구별할 수 있다. 주격조사는 한 문장의 주어자리에 쓰이는 조사로‘이/가’,‘께서’,‘에서’가 대표적이다. 1)이/가 : 대표적인 ... 사용된다. 속격조사는‘의’는 명사와 명사 사이에서 두 명사를 소유주와 소유물의 관계를 묶어주는 일, 다시 말해 소속 관계를 나타내 주는 일을 주된 임무로 하는 조사로 그 쓰임의 범위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