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의 목적 (2) 방언조사지역에 관한 소개 (3) 방언조사방법 (4) 조사 ... 특징과 예시 (4) 담화적 특징과 예시 Ⅲ . 결론 (1) 방언조사의 목적 ... - 광의의 목적 : 안성지역 토박이들의 방언을 조사하여 표준어와 어떤 ... 안성 지역 방언조사 ◆ 목 차 ◆ Ⅰ. 서론 (1) 방언 ... 순서와 각 조원들의 임무 (5) 제보자 소개 Ⅱ. 안성 지역 방언의 조사
문헌 Ⅰ. 조사목적과 조사 방법 조사목적은 지역 방언의 어두 경음 ... 방언의 어두 경음화 -한국어 방언과 문학 과제- -목차- Ⅰ. 조사 ... 방언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경음화된 어휘들을 찾아보았을 때, 일반적으로 ... 목적과 조사 방법 1. 조사목적 2. 조사 방법 Ⅱ. 어두경음 ... 방법과 조음 위치 Ⅳ. 어두경음화의 음운론적 환경 Ⅴ. 방언의 어두 경음
주격 조사와 목적격 조사 - 국어 방언의 이해 - ◎ 목차 ◎ 1 ... 조사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은 다른 방언에서 찾기 힘든 특징이 있다. 1 ... 어에서는 높임의 주격 조사로서 ‘계서’가 있으나, 대부분의 방언 ... 동해안 지역에 나타나는 방언형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영덕에서는 목적 ... 방언에 나타나는 주격 조사의 겹친형 ‘이가’의 출현과 평행되는 것이다
지역에 나타나는 방언형들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영덕에서는 목적격 조사 ... 가 겹친 '으를'( 을을)이 쓰인다. 목적격 조사의 겹침 현상은 이 방언 ... 나타내는 표지이다 주격 조사의 문법 중 모든 방언에 공통적인 것 ①다중주의 ... 의존동사'되-'사이에 주격 조사가 나타날 수 있는 점은 다른 방언 ... [제주] 이/가 주격 조사 '이/가'는 모든 방언에 두루 쓰이며, 그
이 글은 광복 이후 북한에서 이루어진 방언조사 및 연구를 연구사적 ...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먼저 여러 논저를 통하여 방언 연구 목적, 대상 ... , 방법론을 살펴보았다. 북한의 방언조사 연구는 순수히 방언 연구를 위한 ... 목적과 문화어의 보급을 위한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한편, 조사 대상 지역은 ... 도, 개성(경기도)은 매우 적다. 그리고 개별방언의 특징을 중세국어와
(2014)의 조사 결과물을 비교하여 선행 연구들에 의해 축적된 방언 자료를 ... 활용하는 새로운 방언 연구 방법론을 모색한다.둘째, 언어변화에 영향을 ... phonological phenomena.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안주현 ... .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안주현 ( Ahn Juhyeon ) ... 이 연구의 목적은 칠곡과 영천 지역어의 어휘 변화 양상을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재 연변지역에서 사용되는 동북방언의 격조사 사용에 ... 사 사용 중 동북방언의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조사로서 조사 ... 있다. 1992년 한중수교이후 20년 지난 지금 연변지역 동북 방언 ... 연구에서는 사회 언어학의 공시적 입장에서 연변지역 동북 방언 중 격조사 ... 사용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동북 방언 격조사 사용 특성을 보면 주격
보았다. 그 결과 ≪낙동강 하류 가락 지역어 조사연구≫는 방언 연구서와 방언 ... 이 글의 목적은 안길남 선생이 펴낸 ≪낙동강 하류 가락 지역어 조사연구 ... 편찬 과정과 구성을 살펴보고, 이 책에 수록된 방언형의 특성을 검토해 ... 자료집의 성격을 겸하고 있으며, 이 책에 수록된 방언형에서 다양한 ... aspects of Garak dialect.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박형진
이 글은 방언의 구술발화를 좀 더 체계적이고 효과적으로 수집하고 정리할 ... 수 있는 방안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방언 구술발화 자료를 이용한 연구의 ... 좋다. 전사는 방언 음성 전사, 국제음성기호 전사, 방언 형태음소 전사 ... , 표준어 내역 등 4단계 전사가 가장 이상적이지만 연구목적이나 조사목적 ... narratives.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박경래 ( Park
명칭이나 부분명칭이 있을 때에는 확대 심화시켜 조사하였다. 그리하여 다른 방언 ... 방언 자료가 보여주는 특징은 다음과 같다.1) 조사항목과 관련된 하위 ... ) 이 방언의 악센트를 밝혀보려 시도하였다.5) 조사항목과 관련된 連語 ... 방언 자료가 이러한 특징을 가지게 된 것은 조사자가 높은 언어학적 및 ... 노트가 일찍이 공개되었더라면 방언조사의 한 典範이 되지 않았을까
앞으로의 연구과제를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대비방언학은 방언분포론과 ... 학적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북한방언의 조사에 대한 현실 ... 체계적인 조사가 필요하다. 끝으로 궁극적으로는 북한방언에 대한 현지조사 ... 본고는 북한방언에 대한 연구성과들을 대비방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 방언분화론으로 나뉠 수 있는바, 우선 방언분포론에서는 방언자료집 발간
목적으로 한다. 평안 방언, 그중에서도 평양 지역어의 모음을 음향음성학적 ... 본고는 실험음성학적 관점에서 평안 방언의 모음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 대) 제보자의 자료를 대상으로, 평안 방언의 단모음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 방언의 모음 체계가 /ㅣ, ㅔ, ㅐ, ㅡ, ㅏ, ㅜ, ㅗ/의 7모음 ... 변화해 가고 있음을 언급할 것이다. 뿐만 아니라, 중부 방언(서울 및 경기
kinship terms of address of this dialect. 한국방언 ... 학회 방언학 오선화 ( Oh Sonwha ) This study ... address of this dialect.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오선화 ( Oh Sonwha ) ... 이 글은 연변지역어의 호격조사가 어떤 것이 있는가를 살펴보고 호격조사 ... 와 선행체언 및 상대높임법과의 관계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이
을 조사한 노트와 보고서를 소개하고 여기에 나타난 도서 방언의 특징을 알아보는 ... 흑산도를 비롯한 서해도서를 조사한 후 펴낸 보고서는 방언 자료 외에 ... 이 글은 心岳 이숭녕 선생이 於靑島와 黑山島 등 서해도서의 방언 ...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49년도에 어청도를 조사한 후 자료를 꼼꼼하게 ... 설명과 해석까지 곁들여졌다는 점에서 국어학적으로나 방언학적으로 매우 의의가
조사 자료에 의해 개별방언을 연구하는 경우에는 가능한 한 많은 양의 구술 ... 이 논문은 구술발화 자료와 개별방언(또는 지역어) 연구와의 관계에 대해 ... 대하여 실제 방언형과 일치하지 않는 것, 어떤 경우에는 일치하고 다른 ... .구술발화 자료는 다음 몇 가지 점에서 개별방언 연구에 유용한다. 구술 ... data as many as possible. 한국방언학회 방언학 최명옥
)주격조사 : 강원도 방언에서는 주격조사‘-이,가’ 가 널리 사용 됨 ... 강원도 방언 1.강원도 방언의 구획 가. 강원도 방언은 중부 방언 ... 의 하위 방언으로 어휘ㆍ음운ㆍ문법에 따라 구분하여 태백산맥 동쪽의 영동과 태백 ... 산맥 서쪽의 영서 방언권으로 구분하고 세부적으로 영동방언권은 북단영동방언 ... ㆍ강릉방언ㆍ삼척방언ㆍ서남 영동방언권으로 구분하여 영서방언권과 더불어 5
이 논문에서는 국어정책에서 방언의 보존과 활용에 관하여 어떤 노력이 ... 방언에 관해 본격적으로 착수한 첫 사업이다. 9개 권역으로 나누어 매년 한 ... 어를 집중적으로 조사하고 있다. 조사를 통한 보존이 주된 목적인 이들 ... 사업과 달리 2012년부터는 방언을 활용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지역 언어문화 ... 문화 축제 사업은 방언을 활용한 다양한 공연, 전시 등을 제공하는 축제를
이 논문은 방언형태론의 대상을 확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언형태 ... 방언의 독자적인 형태론적 체계 수립에 목적을 둔다고 할 때, 그 연구 대상은 ... 연구 대상으로 삼는다. 공시방언형태론에서는 해당 방언의 어간과 조사 ... 론은 방언학의 한 분야인 지역방언론의 하위 분야이다. 방언형태론이 개별 ... 부이다. 따라서 방언형태론의 주요 연구 대상 역시 해당 방언 화자의 어휘
본고는 제주 지역 공무원들의 제주방언에 대한 방언 태도를 조사해 보는 ...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방언 태도에 대한 개념을 정리해 보고 ... 의 사용 영역, 방언 정책에 대한 인지도를 조사한 결과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 .제주 지역 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제주방언에 대한 태도를 조사한 결과에서는 ... , 소멸 위기의 제주방언에 대한 제주특별자치도의 언어 정책 현황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