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박하사탕이라는, 뭔가 촌스럽고도 아득한 그리움의 흔적을 생각하면서 이창동 감독의 영화 을 보았다. 천천히 음미해가면서 말이다. ... 이제는 흔하디 흔하고 맛도 없어 잘 먹지 않는 박하사탕이 그땐 왜 그리도 맛있었을까... 아직도 박하사탕을 보면 어린시절의 순수한 그 추억이 떠오른다. ... 어린시절 할아버지께서는 박하사탕 한 봉지를 문갑 속 깊숙히 감춰두셨다가 방학 때 시골에 내려온 내게만 몰래 한 웅큼씩 집어주시곤 하셨다.
하지만 그 생각은 자료 영화 을 보면서 바뀔 수밖에 없었다. 어떻게 보면 상당히 난해하기 그지없는 영화 …. ... 아마도 박하사탕을 만든 이창동감독이 하고 싶은 말고 지금 위에 적어놓은 말과 많은 면에서 일치하리라고 생각한다. ... 그리고 한번에 짧게는 2일에서 길게는 5년까지 마구잡이로 뛰어넘는 의 내용 전개상 아래에선 시점을 3인칭 관찰자 시점으로 잡았다.
‘박하사탕’은 일관되게 섬뜩한 느낌이다. ... 결론 : 박하사탕과 한강 영화의 김영호는 공단노동자, 광주항쟁 진압군인, 고문경관, 영세 사업가로 유전하면서 누구도 거스를 수 없는 시대상황을 지내오면서 그에 따른 순수함을 ... 그리고 이와 함께 머리를 스치고 지나간 영화는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이었다.
▷「박하사탕」을 보고.... 나 다시 돌아갈래! 죽음을 앞두고 주인공이 마지막으로 한 대사이다. ... 죽어가는 그녀 앞에서 박하사탕을 들고 울음을 토하지만, 그 후 그녀가 남긴 사진기를 단돈 4만원에 팔아버리는 그는 이제 더 이상 순수함이라고는 찾아 볼 수 없는 인간이다.
영화를 만든 감독 이창동은 ‘박하사탕’ 홈페이지(http://www.peppermint-candy.co.kr)에 아래와 같이 썼다. ... 그런 황당함과 답답함이 거꾸로 내 젊음의 순수했던 지점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내적인 충동으로 작용한 것이 ‘박하사탕’의 출발이다. ... 박하사탕 - 과거에로의 회귀 { 감독∥이창동 · 수상∥2000년 대종상 작품상, 감독상, 각본상, 신인남우상, 조연여우상, 2000년 체코 카를로 비바리 국제영화제 심사위원특별상,
‘박하사탕’의 이창동 감독은 원래 소설가였다. ... 박하사탕 - “잃어버린 순수를 찾아서” 한 남자가 있다. 그는 술 때문도 아닌 듯 한데 무언가에 지독하게 취해 있다. 아니, 홀려 있다. ... 그의 두 번째 영화 ‘박하사탕’은 소설가의 치기나 외도가 아닌 영화감독으로서의 성공적인 전이를 증명하고 있다.
여기서 다시 영훈의 순수의 상징인 박하사탕을 상기해보자. 영훈의 박하사탕이 군인의 군화 발에 으스러진 이후 그는 순수와 작별하게되는 소녀의 죽음과 만나게 된다. ... 더구나 윤 순임의 만남이전에 자신의 손을 더럽혔으므로 더욱) 또한 박하사탕이 그러한 주인공의 순수를 대변하는 모습은 광주로 출동하는 부대의 혼란함 속에서 순임이 편지로 보내준 박하사탕이 ... 그의 순수는 윤순임이라는 아가씨와의 만남을 통해 사랑으로 깃 들고, 이 영화에서는 그러한 순수와 사랑을 박하사탕이라는 대용물로써 표현하고 있다.
영호는 고참의 군화에 밀려 순임이 선물한 박하사탕을 쏟는다. 다음 쇼트로 박하사탕이 클로즈업되고 군화가 박하사탕을 짓밟는 모습이 보여진다. ... 비서는 박하사탕을 영호에게 준다. 영호는 두 세번 거부하다가 박하사탕을 먹는다. 다음 쇼트로 영호가 클로즈업되고 무언가 골똘이 생각한다. ... 박하사탕은 우리의 암울하고 타락한 사회를 비판한다.
박하사탕이 역사를 그려내는 방식을 형식분석으로 알아보고 작품이 가지는 역사를 바라보는 입장을 평가한다. 박하사탕은 거슬러 올라가기의 방식을 택한 아주 구성이 돋보이는 영화이다. ... 그러므로 박하사탕이라는 영화로 인하여 현 시대의 아픔을 인식하고 치유하려는 진정한 의미의 역사영화를 말할 수 있게 되었다.주1) 박하사탕의 주요 스토리는 주인공의 20년 동안의 인생을 ... 김영호는 자살을 결심하고 자신의 인생을 망친 이와 함께 죽을 생각으 주1)스크린 99년 11월호 이달의 영화「박하사탕」(스크린 99년 11월) 주2)기획기사 :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
박하사탕의 줄거리와 구성에 대해서 논하고 느낀점을 기술하시오 박하사탕은 한 남자의 인생을 일곱토막으로 나누어 시간의 역순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구성된 영화다. ... 영화 박하사탕은 바로 그러한 물음을 나 자신에게 던져주었다. ... 박하사탕은 그런 영호의 순수를 잘 나타낸 사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하얀색은 순수하지만 때가 묻기 쉽기 때문이다.
박하사탕은 영호의 첫사랑과 순임과 연결해 주는 매개체였다. 박하사탕은 달지 만은 않다. 그리고 흰색이다. ... 박하사탕을 보고 「박하사탕」 이 영화의 시작은 중년 남자(설경구)가 1999년 봄 '가리봉 봉우회'의 야유회 장소에 나타나는 것으로 시작한다. 그의 이름은 김영호이다. ... 그 박하사탕 같은 존재가 점점 사회에 물들어 가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마지막 순간에서 영호는 박하사탕을 기억해 낸다.
박하사탕의 각 장면별 줄거리 및 분석 영화 박하사탕은 40살의 김영호(설경구 분)라는 인물의 일생을 7개의 chapter를 통해 거꾸로 거슬러 올라가며 마치 시간여행을 하는 듯한 느낌을 ... 의 김영호는 그 어디에도 속하지 못한 인물이다. ... 서 론 이창동 감독의 박하사탕 은 제 4회 부산국제영화제 개막작으로 뛰어난 작품성과 흥행성으로 큰 찬사를 받았던 작품이다.
어쩌면, 영화 박하사탕이 그런 영화에 속할지 모른다고 생각하게 된다. 이창동감독의 영화 ‘박하사탕’에 대해서 짧은 논문을 적어보고자 한다. ... 갑작스런 출동으로 순임과 면회조차 하지 못한 영호, 영호의 박하사탕은 모조리 깨어지고, 부서진 박하사탕은 영호에게 있을 불행을 암시한다. ... 영화 ‘박하사탕’은 기존의 영화와 달리 서사구조를 시간의 역순으로 전개하여 그 구성의 독특함을 보여준다.
박하사탕에 서사구조에 대해서... 이창동감독의 박하사탕은 현재에서 과거로 향해가는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다. ... 박하사탕은 처참히 군화발에 부서져 짓이겨진다. 여기서 박하사탕은 영호와 순임의 비극을 암시하는 복선이자 상징이다. ... 인간의 생을 돌아보면, 박하사탕처럼 달콤함과 시원함과 상쾌함이 어느 순간엔 있겠지 한다. 영화 박하사탕은 머나먼 과거를 지나 현실로 되돌아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