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에 있어 새로운 변화가 모색되기 시작했던 1970년대에 프랑스의 관청 경제학자를 중심으로 형성된 레규라시옹이론은, 맑스와 케인즈로의 단순한 회귀가 아닌 맑스와 케인즈 ... 가설이나 개념을 공통으로 확인한 후 이를 국가나 세계의 현실과 대비하면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태를 분석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기에 레규라시옹 어프로치 라고도 한다. 그러면 레규라 ... 다.그러면 여기서 자본주의에 대한 인식을 함에 있어 레규라시옹적 틀을 살펴보자. 먼저, 앞부분의 레규라시옹 어프로치의 특징에서 언급되었던 것처럼 임노동관계,경쟁형태,국가형태,국제관계,화폐다.
(Bob Rowthorn) 등 영국 케임브리지 대학의 진보적 경제학자들과 앨런 리피에츠(Alan Lipietz) 등 프랑스의 레귤라시옹 학파 학자들과도 교류하게 되었다. 제프리 삭스 ... 으로도 유명하다.장하준은 계획 경제와 시장경제의 절충안인 산업 정책 이론을 구체화시켰던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경제학자인 로버트 로손(Robert Rowthorn) 아래서 연구하며 비주류 ... 들을 경제 상황의 진화에 있어 주된 요인으로 보는 경제학 이론을 말한다.장하준은 《사다리 걷어차기》에서 모든 선진국들은 더 부유해지기 위해 보호주의 정책을 사용했으면서 다른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