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락국 건국신화개벽한 후로 이곳에 아직 나라의 이름이 없고 또한 왕과 신하의 칭호도 없었다. 아도간, 피도간, 오도간, 유수간, 유천간, 신천간, 오천간, 신귀간 등 구간이 있 ... 다’(신라 건국신화) -피동(被動)에 의해 탄생된 인물: 자라서 왕으로 추대된 뒤 신덕으로 국가를 경영함을 보임- ‘알이 화하여 동자가 되다’(가락국 건국신화)-능동적으로 탄생된 인물 ... 1. 신화의 정의신화(mith)란 말은 희랍어 뮈토스(mythos)에서 유래된 말이다. 뮈토스는 ‘이야기’란 뜻이다. ‘이야기’란 제의에서 신들에 의해서 이야기되고, 신
, 불사의 상징동물과 수호신으로서 등장한다.2) 득성시조왕신화와 성씨시조신화성씨시조신화에는 건국시조신화, 득성시조왕신화, 성씨시조신화로 나눌 수 있다. 성씨시조신화는 건국시조신화, 덕성 ... 꼭 것이다. 따라서, 알에서의 부화은 제2의 탄생을 나타낸다. 이것에서 건국주 내지 득성시조왕의 모티프가 다분히 탄생의례과정과 성인의례과정이 겹쳐진 의례의 구술상관물임을 알 수 있 ... 하였고, 산문신화를 다시 창세신화, 영웅신화, 시조신화, 부락신화, 일반신화로 분류하였다.그리고 김열규는 한국 신화를 왕조신화, 가계신화, 촌락신화, 무속신화의 4범주로 분류하였고, 이상일
성을 인정하는 범위가 일정치 않은 일반적인 신화1)건국신화건국신화는 나라를 세운 시조에 대한 신화이다. 고조선은 〈단군신화〉가 있고, 고구려는 〈동명왕신화〉, 신라는 〈혁거세신화 ... 다. 조상신에 대한 신화인 제주도의 조상본풀이들도 넓은 의미에서 이 범주에 넣을 수 있다.문헌에 실려 있는 성씨시조신화는 시조의 출생담과 득성(得姓)과정이 중시되어 있다. 출생은 주로 ... 된 여인에 의해 태어난다. 득성과정은 돌궤에 써 있는 글자를 취하는 경우도 있으나 대개는 왕이 하사한 것으로 나타난다.〈탐라지〉 등에 전하는 제주도의 〈3성신화〉는 지금은 고·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