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반에 들어와 역사학에서도 새로운 움직임들이 나타났는데, 대표적인 것으로 포스트모던 역사학을 꼽을 수 있다. 중심의 해체, 시간의 연속성과 계기성, 객관성을 부정하고 문화·일상 ... ·미시사를 강조하는 역사학의 흐름이다. 나탈리 데이비스는 이러한 포스트모던적 역사 서술의 전통에 속한다는 찬사를 받아왔다. 그녀는 분명 여성사, 지방사에 큰 관심을 두고 있다. 자신 ... 의 저서 《마르탱 게르의 귀향》이 일반화를 거부하기 때문에 포스트모던적이라는 주장을 받는데, 그럼에도 개별적 사례를 넘어서는 과정들에 어떤 통찰력 같은 것들을 던져줄 수 있었으면 하
들이 미국산 쇠고기를 먹고 죽을 확률보다 현대 자동차를 몰다가 사망할 확률이 더욱 높다고 강조한 코사는 미국인들도 이제 쇠고기보다 위험한 한국 차를 더 이상 타지말자고 말해야할 때 ... 의 마약중독사(史)를 그린 이 기사는 전 미국사회를 충격에 빠뜨리게 했고 많은 사람의 동정을 샀다. 지미를 돕겠다는 사람은 줄을 이었다. 쿡 기자는 취재원 보호를 위해 소재를 알려 ... Woodward) 당시 워싱턴 포스트 편집부국장은 이를 묵살한 채 쿡 기자를 옹호하며 퓰리처상 후보로 추천했다. 이듬해인 1981년 4월 13일 ‘지미의 세계’는 특집기사부문 퓰리처
계에 불어닥친 탈중심주의 사상과, 그동안 제외된 주변부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조명이라고 할 수 있다. 학문과 사회의 모든 분야에 혁명적인 인식의 변화를 몰고온 탈중심주의는 그동안 ... 에 내어놓은 또하나의 문화상품이라는 지적이다. 즉 탈식민주의 역시 포스트모더니즘처럼 후기 자본주의 시대의 상품이며, 다양한 소비자의 구미와 요구에 맞추어 만든 국면전환용 판촉상품이라는 것 ... Doyle의 추리소설들에서도 발견된다. 예컨대 도일의 이 추리소설에서 범인들이 살인에 사용하는 도구인 단검이나 독약 또는 독사 같은 것들은 거의 다 인도나 아프리카에서 가져온 것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