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일본어모어화자, 한국어모어화자,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이메일에 나타난 의뢰행동(request)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먼저, 일본어모어화자와 한국어모어화자가 지도교수에게 교환유학에 필요한 추천서를 의뢰하기 위하여 작성한 이메일을 담화구조와 의미공식의 관점에서..
현행 고교 6차 일본어 교육과정의 정의적 목표가 「일본 문화의 이해와 한국 문화의 소개 」 이다. 그러나 일본어 교수자에 의한 일본 문화 교육에 대한 연구와 문화적 측면에서의 교재 분석이 극히 저조하다. 그런데 많은 외국어 교육 전문가들은 초급부터 문화에 관한 키워드..
【벼리】일본 내 대학교 교양목적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문화에 관한 가장 큰 문제점은 대상자 요구를 반영한 한국 문화 교재가 없다는 점 이다. 현재 수업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부분의 한국어 교재에는 한국 문화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교양 목적 한국어 학습자 를..
몽타쥬기법은 부분들을 조립하여 하나의 완성품을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영상 표현기법의 몽타쥬는 단편적인 사건이나 액션들을 잘 구축(Construction)해서 이야기를 창조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그 결과는 음악적 구성, 회화적 구성, 극적 구성의 효과를 포함한다. ..
마쓰오바쇼(松尾芭蕉, 1644∼1694)의 「おくの恭細道」는 序言에서도 자세히 밝혔듯이 文學史的인 價値가 뛰어난 俳諧紀行文으로 評價되고 있다. 아울러, 「おくの恭細道」는 앞서 發表된 같은 類의 作品들과는 또 다른 世界를 그려낸 畵期的인 面을 지니고 있어 바쇼(芭蕉)自..