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장경(高麗大藏經)의 간행 1. ... 『고려사(高麗史)』, 권24, 세가 고종38년(1251) 9월. 또한 이규보가 고려 24년(1237)에 쓴 『동국이상국전집』(東國李相國全集)에는 보다 자세한 기록이 있다. ... 다해 제작하는 것을 통해 이 난국 속에서 작게는 가정을, 크게는 국가를 보호해 달라는 그들의 간절함을 볼 수 있는 시대적 유산이라고 생각한다. ※ 참 고 문 헌 ※ 『三國遺事』 『高麗史
蘇軾奉使高麗一事考略? ... 蘇軾의 反高麗 텍스트를 통해 본 고려전기 다원적 국제 관계 - 目次 - 1. 머리말 2. 蘇軾의 反高麗 텍스트의 내용 분석 3. 텍스트 속 고려의 국제 관계 4. ... 蘇軾 高麗 관련 논설의 譯註(2)?, 중국사연구 98, 2015, 302쪽. ; 김영제, ?北宋 神宗朝의 對外交易 政策과 高麗?
고려사(考慮史) ·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목 차 Ⅰ. 서 론 Ⅱ 고려사(高麗史) 1. 편찬과정 2. 고려사의 구성과 내용 Ⅲ. 고려사절요(高麗史節要) 1. 편찬과정 2. ... 한영우는 「高麗史와 高麗史節要의 比較」,『朝鮮前期史學史硏究』에서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는 외형상으로는 서로 보완관계에 있으나 내면적으로는 군신간의 상충된 이해 관계가 반영되었다고 ... 校高麗史)』가 만들어졌으나, 변계량의 직서원칙에 대한 반대로 반포되지 못하였다. 세종 13년경부터는 권제(權?)
高麗前期의 對外關係 1.서론 필자는 고려시대가 당시 북방 이민족과의 전쟁이 끊이지 않았던 사실을 돌아보며 대외관계에 갖고 책을 보던 중, 고려의 대외관계가 고려의 정치 상황을 이해하는데 ... 閔賢九, 「高麗前期의 對外關係와 國防政策 : 文宗大를 中心으로」, 『아시아연구』, 고려대학교 아세아 문제연구소, 1998.] 1) 광종 9년과 10년에 고려와 후주, 양국은 정치,
우리나라의 감옥제도는 현존하는 문헌상 부여시대를 그 기원점으로 하여 삼국시대를 거쳐 고려왕조에 이르러서는 완벽한 정도는 아니지만 이미 행형시설이나 운영면에서 어느 정도 체계가 잡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감옥체계는 크게 수도개경을 중심으로 한 중앙과 지방(外..
【참고 문헌】 『高麗史』 『高麗史節要』 서연달 외, 중국사연구회 옮김,『중국통사』, 청년사, 1989. 국사편찬위원회,『한국사』15, 국사편찬위원회, 1995. ... (후략) 『高麗史節要』 券 1 太祖 癸卯 26年. 태조의 이러한 정책은 고려의 기본적인 대 거란정책으로 적용되었다. ... 고려(高麗)전기의 대외관계 -고려와 거란(契丹), 송(宋)의 관계를 중심으로- Ⅰ. 들어가며 흔히 역사에서 고려와 거란, 송의 관계를 설명하자면 고려를 중심으로 한 삼각관계였다.
The central aim of this thesis is to see if the structure of Palsangjeon(捌相殿) in Pubjoo Temple(法住寺), a five sto wooden pagoda in Chosen(朝鮮) Dynasty, ..
본 논문은 원(元)으로부터 전래된 성리학(性理學)과 명리학(命理學)의 새로운 사상적 토대를 기반으로 하여 문화의 다양한 변화와 사회전반에 영향을 끼친 현상에 대한 연구로써 고려 말∙조선 초의 사회현상에 초점을 두어 수용 되는 과정상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동안..
及回渡薩水, 各軍半濟, 高麗兵從後掩擊, 隋將軍辛世雄陣亡。 ... 果然高麗兵四面抄擊, 沒奈何且戰且行。 과연고려병사면초격 몰내하차전차행 과연 고구려 병사가 사면으로 습격해 어찌할 수 없어 싸우면서 갔다. ... 第九十四回 征高麗勞兵動衆 潰薩水折將喪師 제구십사회 정고려로병동중 궤살수절장상사 남북사통속연의 94회 고구려정벌해 병사를 피로하게 하며 대중을 동원해 살수에서 궤멸되어 장군을 꺽이고
中國의 唐代에 완성된 律令制는 우리나라에 큰 영향을 주어 新羅ㆍ高麗를 중심으로 하는 律令國家群으로 포함시켜서 고찰하는 것이 보통이라 할 수 있다. ... 本稿의 핵심이 되는 高麗律을 기준한다 하더라도 그 이전의 新羅律令에 대하여 그 대체적인 양상을 일별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동국사학회 동국사학 辛虎雄
本稿는 고려중기 대표적 작가들의 산수시를 연구 분석하는 과정을 통하여 개별작가들의 작품에 드러난 자연의식과 미의식을 추출하고 이 시기 山水詩의 槪括的인 성격을 구명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무신집권기(1170-1270년)로 명명되는 고려 중기는 문인들의 수난기였다. 생존..
위와 같은 문제에 대하여 그 대강의 이해를 갖고자 하는 것은 高麗律의 파악에 있어서 先行要件이 됨은 물론이거니와, 本稿의 내용을 통해 이미 高麗律의 일부는 그 實相이 밝혀지리라고 생각한 ... 가 곧 廣義의 高麗律을 구성하기 때문이라 할 것이다. 동국사학회 동국사학 辛虎雄 ... 이 점에 대해서는 高麗史가 편찬 모델로 한 元史의 刑法志와 그 구성에 있어서 나타난 차이점에 대해 집중적으로 比較檢討할 예정이다. 그리고 셋째는 刑法志 所收의 制 ? 判 ? ?
高麗史 解題 李基白 1. 高麗史의 編纂 고려사는 다 아는 바와 같이 삼국사기와 더불어 우리나라의 2대 정사를 이루고 있다. ... 高麗史에 나타난 史觀 우선 그들 사대부의 고려왕조사에 대한 이해의 밑바닥에는 유교에 바탕을 둔 도덕적 합리주의 사관이 가로놓여 있었다. ... 史料로서의 高麗史 오늘날 고려사를 이용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사관으로 말미암아서가 아니라 그 사료적 가치로 말미암아서 이를 중요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