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윤휴의 『독서기(讀書記)-대학(大學)』에 대해 살펴보았다. 필자는 윤휴의 『대학』해석을 고학적(古學的) 입장으로 생각할 수 있다는 제3의 입장을 제시하였다. 왜냐하면 윤휴가 강조하고 있는 ‘실천’은 실천중심의 원시유학에서 나온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
이 글은 尹鑴의 『중용』해석에 대해 구조분석과 요지파악의 측면에서 십삼경주소본의 구설 및 주자의 『중용장구』와 상호 비교하여 同異點를 분석한 뒤, 그 영향관계와 의미를 논구한 것이다.구조분석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윤휴는 『중용장구』의 33장 체제 및 4대지로 나누어 보..
이 글은 白湖林悌(1549~1587)의 시문집인 謙齋遺槁를 학계에 처음 ... 소개하고, 이 자료를 통해 白湖의 시세계를 새롭게 조망하기 위한 시도로 ... . 이 책을 통해 白湖의 한시51題55首, 松岩梁大樸(1543~1592)의 ... 있다. 이 글에서는 謙齋遺槁의 자료적 특성을 활용하여 우선 白湖가 梁大 ... 시문들을 모아 작품집으로 만드는 일이 활발했던 것으로 보인다. 白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