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해진미(김, 미역, 톳, 다시마, 멸치, 삼치, 광어, 도미, 우럭, 농어, 문어, 전복)가 풍성한 섬이다. 고산윤선도는 선조 20년 (1587年)에출생 광해군,인조,효종을 거쳐 ... 세(효종1651)에 보길도를 배경으로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를 지었다. 1659년 효종이 죽자 효종의 능을 정하는 문제로 73세에 함경도 삼수로 귀양간다. 81세에 풀려나 보길도 ... 洞)에 낙서재를 짓고 살았다. 이듬해 난이 수습된후 왕에게 문안드리지 않았다는 죄목으로 다시 경북 영덕으로 유배 1년만에 풀려났다. 이후 10년동안 고산은 보길도 부용동에서 지내면서 65
(李廷煥) 등의 시조가 있다.그러나 아무래도 이 시기의 시조문학을 대표하는 최고봉은 윤선도(尹善道)였다.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나 《산중신곡(山中新曲)》 같은 작품은 그의 자연 ... )의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과 이이(李珥)의 《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가 있으며, 정철(鄭澈)의 여러 시조에 이르러 조선 전기의 시조문학은 절정에 다다랐다. 조선 전기의 가사 ... 시인으로서의 풍모를 뚜렷하게 할 뿐 아니라 시조문학의 가치를 한껏 발휘하였다. 윤선도에 이르러 절정에 다다른 시조문학은 이후 평민작가들이 그 주역을 맡게 되면서 김성기(金聖器
고 노후(老後)에 십여년 동안 향리(鄕里)에서 자연을 벗삼아 유유자적(悠悠自適)할 때의 초탈한 풍류를 그리고 있다. 후대에 윤선도에 의해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로 개작되었다.도산 ... 최초의 연시조2. 유가(儒家)의 강호가도(江湖歌道)의 원류(原流)가 됨3. 이황의 도산십이곡 , 이이의 고산구곡가 에 영향을 줌출전 진본 청구영언감상이 시조는 작자가 만년에 벼슬 ... 이 편하고, 눈을 감고 어리저운 세상을 보지 않는 것이 마음이 편하다고 작자는 말하고 있다.고산구곡가(高山九曲歌)서곡(序曲)高山九曲潭을 살링이 몰으든이誅茅卜居힝니 벗님네 다 오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