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 거래가 빈번하므로.제2장 상업등기의 의의(1)상업등기는「일정한 사항을 공시할 목적으로 상법의 규정에 의하여 등기할 사항을 법원의 상사등기부에 하는 등기」를 말한다.(상34조)1 ... 다.→민법에 의한 등기(부동산 등기, 법인등기, 특별법에 의하여 설립되는 법인의 등기)→선박등기는 상법상의 등기제도 아님.3)상업등기는 「법원」이 관할→특허권, 상표권과 구별(행정 ... 가 없었는데, 프랑스는 1919년에 이르러 상업등기제도를 채택하였고, 그 뒤 여러번의 개정과정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우리 상법은 독일의 제도를 받아들였다.제3장 등기사항34조
을 창설하지 못한다(제185조)--物權法定主義(1) 종류강제위반은 전부무효 (2) 내용강제의 위반은 그 위배부분만이 일부무효2-1. 物權法定主義에 위배되는 物權行爲를 내용으로 하 ... 權과 傳貰權을 목적으로 하는 抵當權7. 민법상 물건의 일부에 관하여 하나의 物權이 인정되는 예외적인 경우는, 건물의 구분소유 또 用益物權의 설정(傳貰權)은 분필 전에도 일부토지 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