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 행정역할과 윤리적 책임
- 최초 등록일
- 2009.03.03
- 최종 저작일
- 2008.11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Ⅰ. 서론
Ⅱ. 전문행정의 역할
1. 관료제에서의 전문직업화
2. 전문 직업주의의 대두
3. 전문가 역할의 변화
Ⅲ. 윤리적 책임을 증진시키는 방법
1. 공무원 윤리 강령의 재검토
2. 전문가 자신의 행위의 성찰
3. 대화를 통한 책임 있는 행위
4. 편견의 배제
5. 행정의 공개
6. 공공책임성
7. 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
Ⅳ. 결론
※ 참고문헌
목차
Ⅰ. 서론
Ⅱ. 전문행정의 역할
1. 관료제에서의 전문직업화
2. 전문 직업주의의 대두
3. 전문가 역할의 변화
Ⅲ. 윤리적 책임을 증진시키는 방법
1. 공무원 윤리 강령의 재검토
2. 전문가 자신의 행위의 성찰
3. 대화를 통한 책임 있는 행위
4. 편견의 배제
5. 행정의 공개
6. 공공책임성
7. 윤리의식 향상을 위한 교육
Ⅳ.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한국 정부의 행정 전문가들은 경제, 문화, 기술, 그리고 사회 발전을 위한 공공정책을 설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왔다. 한국 정부는 장·단기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과학적 지식과 기술적 기능을 보유한 전문가뿐만 아니라 법학, 정치학, 행정학, 경제학 분야의 교육과 훈련을 받은 전문행정가들에게 의존하여야 하였다. 빠른 경제 발전 기간 동안에 전문가의 역할은 우세해 왔다. 중앙집중적 계획의 발전과 이행 전략에 대한 그들의 투입은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권위주의적 정권하에서 잘 추진되었다. 한국 사회가 더욱 민주화되고, 다원화되며, 지방분권화되면서 그들의 전문적 역할과 행동은 국민의 감시뿐만 아니라 다수의 예기치 못한 기술적·과학적 결과에 직면하였다.
아래에서는 전문행정가의 역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그들이 어떻게 변화해야하는가를 알아보겠다. 윤리적 책임을 증진시키는 데에는 어떠한 방법이 있고, 앞으로 전문행정이 어떠한 방안으로 나아가야할지를 모색하고자 한다.
Ⅱ. 전문행정의 역할
1. 관료제에서의 전문직업화
복잡한 사회 속에서는 어떤 문제의 해결을 고안하는 데 전문가들에게 의존하는 일반적 경향이 있다. 그들의 기술적이고 합리적인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미래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할 수 있기를 바라고 우리의 인간적·과학적인 잠재력을 이해하고자 한다.
참고 자료
· 전종섭. 「행정철학」. 서울: 대영문화사, 2001.
· 김항규. 「행정철학」. 서울: 대영문화사, 2006.
· Benveniste, G. Professionalizing the Orgarnization: Reducing Bureaucracy to Enhance Effectiveness. San Francisco: Jossey-Bass, 1987.
· Burke, J. P. Bureaucratic Responsibility. Baltimore: John Hopkins University Press, 1986.
· Vickers, Sir G. The Art of Judgement: A Study of Policy Making. NY:Basic Books, 1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