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인테리어 및 모델하우스 특징 분석 - 국내 공동주택 사례를 중심으로
- 최초 등록일
- 2008.12.04
- 최종 저작일
- 2008.12
- 4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소개글
본 자료는 국내 공동주택(아파트)의 인테리어 변화를 언급한 시장조사(발표용) 자료로서
1. 아파트의 시대적 특징 및 변화
2. 건설사별 인테리어 특징 및 편의시설
를 주제로 실 사례를 바탕으로 분석한 자료(PPT) 입니다.
국내 건설사별 브랜드 아파트의 설계디자인 특화요소 및 경향을 살펴보기에는 알맞은 자료라고 생각듭니다.
목차
Ⅰ. 아파트 트렌드(Trend)의 변화
1. 국내 아파트 트렌드의 변화
2. 건설회사 아파트 브랜드 현황
3. 아파트 선호 여건 조사
4. 고급화, 차별화 전략
Ⅱ. 평면(UNIT)의 변화
7. 공간기능의 변화
8. 기타 특화
Ⅴ. 인테리어 및 모델하우스
1. 모델하우스 인테리어의 변화
2. 건설사별 인테리어 스타일
3. 인테리어 특화
4. 편의시설
5. 편의시설
본문내용
Ⅴ. 인테리어 및 모델하우스
3. 인테리어 특화
<거실>
-가족이 모두 모인는 공간으로 애정운과 관련이 깊으로 채광과 통풍이 좋은 곳이 가장 이상적
-양의 기운을 가진 목재가구나 꽃, 산 등의 풍경그림을 두고 따뜻한 오렌지, 레드의 컬러 사용이 이상적
<현관>
-집 안·밖의 경계이기도 한 현관은 전체의 기운을 좌우하는 곳으로 신발장, 이중문, 거울등의 정면 배치는 피할 것
-현관이 좁을 시 종이나 풍경을 달아 경쾌환 소리가 나게 하는 것이 좋고, 현관 매트는 화려한 것 보다는
깨끗하고 소박한 것이 좋고, 거울은 오른쪽에 두면 애정운을 상승시킨다고 함.
<침실>
-인체의 기운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공간으로 가장 생기가 많이 모이는 곳에 배치
-침실안 큰 창문이 있다면 커튼으로 빛의 양을 조절해야 하고, 화장실 방향으로 머리를 두는 것은 피하는 것이 이상적
<부엌>
-열은 내는 전자레인지,토스트기 등은 가족이 모이는 식탁 주변에 배치 피하고 특히, 냉장고 위에 전자레인지는 피할 것
-식탁은 기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기 위하여 벽에서 떨어지게 놓고 식탁위 조명은 환하게 하고, 부억칼은 사용후 집어 넣을 것
<욕실>
-습기는 불이나 물보다 더 강력하게 방위의 기운을 저하시키므로 길한 기운을 높이기 위해 항상 청결하고 밝은 조명 사용
-레드나 열로우, 핑크 등의 양기를 가진 색상의 수건을 사용, 비누는 고급을 사용할 수록 교제운이 높아짐.
참고 자료
1. 각 건설사 홈페이지 :
래미안,힐스테이트,자이,센트레빌,위브,아이파크,SK뷰,아이원,어울림 등
2. 논문 :
아파트 브랜드와 인테리어 디자인의 관계성 연-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황종원(2008)
브랜드 아파트의 차별화를 위한 외관디자인요소에 관한연구-이화여자대학교 건축학과 조양희
(2007)
1990년 이후 아파트 단위평면 변화양상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이종각 (2006)
국내 아파트 실내공간 변화 연구-국민대학교 대학원 손지혜 (2008)
공동주택 외부공간 구성체계 및 디자인 트랜드 변화에 관한 기초연구-단국대학교 유송영 (2008)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