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비화] 슬러지공학처리 퇴비화
- 최초 등록일
- 2008.12.03
- 최종 저작일
- 2008.12
- 41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

소개글
슬러지처리공학의 퇴비화 공정에 대한 연구자료
목차
1. 정의 및 목적
2. 특징 및 처리과정
3. 퇴비화의 단위공정
4. 퇴적화 장치의 종류
5. 장&단점 및 문제점
6. 퇴비화의에 관여하는 주요 인자
7. 퇴비화 공정 및 운전인자
8. 관련 동영상
본문내용
퇴비화의 정의
퇴비화라는 것은 유기물을 인위적으로 퇴적 분해시키는 것을 의미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고 호기성 조건하에서 생물학적으로
유기물을 안정화시키는 유기성 폐기물 자원화 방법 중의 하나
퇴비화기술이라는 것은
『유기성 폐기물의 녹농지 이용을 주요한 목적으로 하여 분해를
촉진시키기 위한 일정한 용기내에 유기성 폐기물 단독 혹은
통기 개량제를 주입하여 호기성조건하에 미생물로 유기물을
분해시켜 자연계 내에서 재차 분해가 없도록 안정화 시키는 프로세스』
폐기물 내 주요 유기 성분
*
퇴비화의 목적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에 의하여 생성된 생성물은 녹농지에
비료로서 토양 개량제 효과를 기대하는 자원으로서 이용하는
것을 기본
하지만, 퇴비화 된 생성물은 질적으로 안정화되어 있기 때문에
녹농지 이외에 녹생토(건설공사녹화용)와 매립보조재로서 이용하는
것에 대해서도 생각
-유기성폐기물의 녹농지 이용을 위한 퇴비화의 목적
① 유기물의 분해에 의한 안정화 및 감량화
슬러지 중에는 미분해성 물질이 많이 있고 질적으로 불안정한 형태이다.
이것을 녹농지 등에 무제한 사용하면 토양 중에서 급격하게 분해되어 토양중의 산소가 결핍된다.
또한 이들 유기물이 발아장애 및 생육작물의 뿌리 썩음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슬러지를 퇴비화하는 것에 의하여 슬러지 중의 불안정한 유기물을 분해하여 안정화 할 필요성이 있다.
② 취급성의 개선
탈수케익의 함수율은 70∼80% 정도이기 때문에, 이 상태로는
유통, 이용에 있어서 취급성이 나쁘다.
또한 저류, 저장시에 질적으로 불안정하기 때문에 부패에 의하여
악취 등의 문제도 일어난다.
따라서 퇴비화에 의하여 함수율의 저장 및 유기질의 안정화에
의하여 녹농지 이용에 있어서 취급성, 저장성의 개선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③ 병원성미생물, 기생충란 및 잡초종자의 사멸
슬러지 중에는 병원균, 기생충란, 바이러스 및 잡초종자 등이
혼입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슬러지를 녹농지 이용하는데 있어서, 이것을 사멸 또는
불활성화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퇴비화의 특성
퇴비화의 특징
부식잔재물(Humus)의 특징
악취가 없는 안정한 유기물(흙냄새)
병원균 사멸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