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변천의 사회적 배경
- 최초 등록일
- 2008.10.10
- 최종 저작일
- 2007.04
- 22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3,000원

소개글
한국교육의 변천
목차
1. 개요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2) 개화기의 교육
3. 일제(日帝)강점기
1) 식민지교육
2) 교육 독립투쟁
4. 분단하의 학교제도
1) 미 군정기
2) 국민교육제도의 형성
3) 몇 가지 특징
4) 교육개혁
본문내용
1. 개요
현재 한국의 교육제도 : 학교본위의 공교육제도
학교본위 : 각급 학교가 교육제도의 중심을 이루고 있는 상태
공(公)교육제도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권력기구에 의해 운영되는 제도
- 1880년대 : 근대적 교육기관 설립
- 1895년 : 공교육제도 수립 시도
- 1910년(한일합방) : 식민지 교육
- 1945년 : 해방과 민족분단으로 분단체제하의 교육
- 1970년대 이후 : 학교 공교육 제도의 제도적 경직성에
대한 비판, 개혁분위기
▷ 학교제도의 발전과정과 아울러 학교제도 개혁론을
사회문화적 맥락에 비추어 살펴보고자 함.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유학 중심의 교육제도
- 교육 목적 : 관리양성과 선발
- 교육 대상 : 지배계급의 자제들
- 교육 내용 : 사서삼경을 비롯한 유학과 중국의 고전
- 교육 기회 : 소수의 지배계급 남자들에게만 허용 ▷ 불평등.
세종의 한글보급
▷ 지배계급은 여전히 한문 사용.
관학(官學)과 사학(私學)
: 왕조 초기 왕권유지 위해 관학 중심, 왕조 안정기 사학 중심.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1) 개화기 이전의 교육
교육은 관리임용시험제도인 과거제도와 밀접히 연결.
교육개혁논의 :18세기 실학자들 주도,
국가교육체제 수립을 목표 ⇒ 개혁론 미실현.
< 서양과 한국의 교육 비교 >
* 서양 : 19세기 이전의 교육은 교회의 관리하에 있어 왔음.
* 한국 : 처음부터 정부가 교육을 지배하고 운영.
- 시험제도를 통하여 국민의 학습활동 조장 및 학습내용 관리 ⇒ 과거제도, 서당과 서원, 독학.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2) 개화기의 교육 : 시대 상황을 극복하고자 하는 교육 개혁 열의가 분출된 시기.
원산학사(元山學舍,1883).
* 동기 : 19세기 말 개항지의 주민 (외국 상인과의 경쟁에 있어
지식의 결핍 인지) → 교육근대화의 필요성 느낌.
→ 원산학사 설립(정식학교).
* 교육과정 문반 : 상업과 해외무역 및 행정.
무반 : 치안유지 목적의 군사훈련.
* 특징 : 자생적 근대교육기관 ( 주민 + 지방행정관료 설립 )
육영공원(育英公院, 1886~1893)
: 정부에서 설립한 신식학교, 서양의 과학기술문명 도입 목적.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2) 개화기의 교육
「한성사범학교관제」(漢城師範學校管制, 1895)
: 최초의 근대적 교육법규.
* 한성사범학교 : 소학교 교사 양성 기관.
소학교 설립 (관립, 공립, 사립)
→ 「소학교령」의 규정에 의한 공교육체계.
⇒ 공교육에 근대적 국민교육제도를 수립하려는 정부의 의지표현.
배제학당(培材學當, 1885): 외국인 설립학교.
사적 교육활동 : 소규모의 교육기관이 형식을 갖추지 않은 채
여러 곳에서 운영.
* 전국의 공립소학교 : 1905년 60개 정도 운영
* 사설 교육기관 : 5,000개
2. 근대학교 제도의 도입
2) 개화기의 교육
19세기 말 교육의 개혁
: 군주제도 → 시민사회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