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공연예술 - 피바다식 혁명가극
- 최초 등록일
- 2008.06.25
- 최종 저작일
- 2008.06
- 1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판매자yjm**
11회 판매

소개글
북한의 공연예술 - 피바다식 혁명가극
목차
Ⅰ. 서론
Ⅱ.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개념과 창작 원리
1.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개념
2.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창작원칙
Ⅲ. ‘피바다식’ 혁명가극과 주체
Ⅳ. ‘피바다식’ 혁명가극의 구성요소
1. 절가
2. 방창
3. 무용
4. 무대미술
Ⅴ. ‘꽃파는 처녀’ 분석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문화 학자 레이몬드 윌리암스(Raymond Williams)는 문화에 대한 정의를 정신문화, 일상적 생활로서 문화실천적인 생활양식, 그리고 지적인 작품이나 실천행위 특히 예술적인 활동으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예술은 문화의 한부분이며 때로는 한 문화를 대변 할 만큼 많은 문화적 특성이 농축되어있기도 하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예술의 의의를 그 자체의 목적가치에 두기보다는 사상·정치·경제·사회 등 다른 형태의 사회적 의식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적 가치에 더 큰 중점을 두고 있다. 문학예술의 미학정서적 교양기능을 부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문학예술을 포함한 문화의 건설은 정치교양과 경제동원, 즉 혁명과 건설을 추동·촉진하는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어야 그 존재의의가 있다고 보고 있다. 또한 통치목적에 복무하는 사상적 무기의 역할을 충실히 하기 위해 주체사상과 그 변용으로서의 여러 가지 통치이념의 확립에 이바지해 오고 있다. 북한에서는 사람들을 당의 노선과 정책으로 무장시키고, 그들의 혁명적 열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을 문화예술의 최우선적인 과제로 삼고 이를 “모든 사업에서 정치사업을 앞세우는 것은 사회주의 사회의 본성적 요구”라는 말로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북한에서의 문화예술은 강력한 선전선동성 때문에 정치사업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수단의 하나라고 할 수 있다.
북한에서의 예술에 대한 정의는 《진실로 사실주의적이고 혁명적인 문학과 예술은 인간생활의 가장 아름답고 가장 숭고한 세계를 사람들에게 보여줍니다. 우리는 문학과 예술을 통하여 생활을 더욱 깊이 리해할수 있으며 더 훌륭한 생활을 창조하기 위한 우리의 투쟁에서 힘과 용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문학과 예술은 인민대중에 대한 가장 중요한 교양수단의 하나입니다.》〈김일성 저작선집> 2권 제2판. 356-357쪽. 라는 김일성의 말에 따라 현대 조선말 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규정하고 있다.
참고 자료
1. 북한원전(단행본·논문)
『문학예술사전』Ⅰ,Ⅱ, 사회과학출판사, 1972.
『현대조선말사전』(상),(하), 과학, 백과사전출판사, 1981.
김경희·림상호,『피바다식 혁명가극1』주체음악총서(4), 문예출판사, 1991.
김정본·강운빈,「주체의 미학적 견해」,『미학개론』, 사회과학출판사, 1991.
김정일,「《피바다》식혁명가극 창작원칙을 철저히 구현하여 사사예술성이 높은 혁 명가극을 창조하자」,『김정일 선집』제2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3.
___,「혁명가극 《피마다》는 우리 식의 새로운 가극」,『김정일 선집』제2권.
___,「혁명가극건설에서 이룩한 성과를 공고발전시킬데 대하여」,『김정일 선 집』제3권, 조선로동당출판사, 1994.
___,「혁명가극창조에서 사상예술성을높이기 위하여」,『김정일 선집』제5권, 조 선로동당출판사, 1995.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