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치(kitsch)문화에 대해서...
- 최초 등록일
- 2008.01.21
- 최종 저작일
- 2008.01
- 6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키치문화에 대해서 중요한 부분을 함축적으로 정리해 놓았습니다.
살 몇마디만 덧대시면 발표와 리포트용으로 손색이 없습니다.
목차
1. 머 리 말
2. 키치의 어원 및 역사
3. 키치의 배경
4. 현대에서의 키치와 대중문화
5. 키치의 특징
6. 맺 음 말
본문내용
3. 키치의 배경
앞서 말했듯이 이러한 키치의 생성배경은 기본적으로 현대사회이다. 현대사회는 자신의 예술적 산물 한편으로 모더니즘을 낳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대중문화, 그 중에서도 키치를 낳았다. 물론 키치의 연원을 바로크나 로코코의 미술에서 찾으려는 시도들이 예전부터 있어왔던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현대 키치의 몇몇 주요 속성들이 이들에서 발견된다는 점에서 이런한 시도들은 수긍할 만하기도 하다. 하지만 키치는 어디까지나 현대적인 현상이며 이 시대의 각인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고 여기서 진정한 예술 체험의 대체물로는, 성적 예술 키치, 혹은 위대한 정치적 행위에의 욕구의 대체물로는, 정치Kitsch, 자연과의 진정한 만남의 대체물로는, 목가Kitsch 등이 있다.
♠ 근엄주의와 절대화에 대한 반발
포스트모더니즘의 논쟁에서 가장 중요한 키워드 중 하나가 키치였다. 구조주의나 문학 같은 데선 비중이 그렇게까지 크진 않았지만 문화예술에 대해 언급할 때는 빠질 수 없는 말이었다. 사실 대중문화라는 개념이 뿌리를 깊게 내린 것은 얼마 되지 않는다. 대중문화에 대한 상대 쪽 끝에 존재하는 것이 바로 아방가르드 인데, 진보적이고 어렵고 충격적이고 전위적인 혁명적인 문화를 말한다. 아방가르드를 대중적이라고 말하긴 힘든데, 그 전위성이 일반 대중에게 충격을 주고, 그중에서 일부가 대중에게 흡수가 되고, 후위를 이루고, 전위성의 신선함이 사라지면 또 다른 아방가르드가 나오고 하기 때문이다.
모더니즘은 아방가르드의 문화이다. 비판적이고 자유분방한 문화였다. 그런데 그게 아닌 게 되어 버린 것이, 바로 자본주의 때문이다. 그런 아방가르드들이 전부 자본위주의 가치판단 안에 귀속되어 버렸기 때문이다. 피카소를 예를 보자. 가장 전위적이고 비대중적인 그림을 그렸지만 그것이 화랑을 통해 박물관을 통해 천문학적인 가격이 매겨지고 그의 그림은 더 이상 자유로운 고고한 예술 지상적인 그림이 아니라 하나의 상품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포스트모더니즘에서 주로 공격하는 것도 바로 이것이다.
동시에 소위 시뮬라크라 즉 대량복제의 시대가 왔다. 루브르까지 고생고생 해서가야만 볼 수 있었던 모나리자의 이미지는 이젠 어디서나 아무대서나 볼 수 있게 된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