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우리가 움직일 때마다 CCTV(폐쇄회로TV•Closed Circuit Television)의 눈을 피할 수 없는 시대가 됐다.
은행, 주차장, 백화점, 사무실, 편의점 어디를 가도 우리를 지켜보는 눈이 있다. CCTV는 보안이라는 이름 아래 감시의 눈길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CCTV로 더 잘 알려진 영상감시 시스템은 1980년대 초 우리나라 공공기관, 금융권, 군 부대에서 보안 및 감시용으로 설치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현재는 교통단속, 범죄예방, 재해 예방, 산업설비 모니터링 등 활용도가 늘고 있으나, 사생활 보호와 같은 법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논란거리도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CCTV에 대한 의미와 기술적인 동향, 유관기관의 시장 예측, 국내 및 국외의 관련 업체와 활용 사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목차
I. 서론
II. CCTV의 기초
1. 의미
2. 기본 구성
3. 이용범위
4. 종류
III. CCTV의 기술 동향
1. 세계 시장 주름잡는 한국 CCTV
2. 아날로그 CCTV
3. 디지털 CCTV-DVR
4. 초소형 CCTV과 줌 기능을 가진 CCTV
5. 하늘을 나는 감시카메라
6. 사생활을 보호하면서도 영상감시가 가능한 CCTV
7. 무선 CCTV
8. IT와 결합된 CCTV 형태
IV. CCTV의 활용 사례 및 사생활 침해 우려
1. 국내 활용 사례
2. 참조기사
3. 국외 활용 사례
4. 보안시장의 특성
5. 사생활 침해 우려
V. CCTV의 시장 예측
VI. CCTV의 업체 동향
1. 국내 업체
2. 국외 업체
VII. 맺음말
참고자료
본문내용
은행, 주차장, 백화점, 사무실, 편의점 어디를 가도 우리를 지켜보는 눈이 있다. CCTV는 보안이라는 이름 아래 감시의 눈길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CCTV로 더 잘 알려진 영상감시 시스템은 1980년대 초 우리나라 공공기관, 금융권, 군 부대에서 보안 및 감시용으로 설치하면서 본격적으로 도입됐다. 현재는 교통단속, 범죄예방, 재해 예방, 산업설비 모니터링 등 활용도가 늘고 있으나, 사생활 보호와 같은 법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논란거리도 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CCTV에 대한 의미와 기술적인 동향, 유관기관의 시장 예측, 국내 및 국외의 관련 업체와 활용 사례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가 자랑하는 세계 1등 제품 중의 하나가 디지털 영상감시 시스템이다. 이 산업은 정보통신 분야에 속하면서 보안산업으로 분류되고 있다. 시장측면에서 살펴보면 다품종 소량생산이라는 특성이 있고, 대기업보다는 기술집약적인 중소기업에 적합한 산업이다.
특히 DVR은 1998년 세계 최초로 우리나라가 개발했다. DVR이 처음 개발됐을 때, 사용자들은 디지털의 고화질과 손쉬운 영상검색에, 그리고 집에서도 원격지 DVR의 영상을 볼 수 있다는 점에 놀라워했다. 이런 특징을 갖춘 DVR은 ‘네트워크’라는 날개를 달고, 그 활용범위가 무궁무진하게 확장되기 시작했다.
원래 영상감시 시스템의 경우 광학렌즈 기술과 센서기술에서 앞서 있던 일본이 세계시장을 주도하고 있었지만, 시스템 구현방식의 차별화를 통한 가격경쟁에서 우리나라 중소기업이 우위를 점하면서 일본을 넘어서게 된 것이다. 원래 일본 제품은 주요 기능을 하드웨어로 구현했지만, 한국 제품은 소프트웨어로 구현해 원가를 크게 절감했고, 그 결과 2000년부터 세계 시장을 리드하게 됐다.
2. 아날로그 CCTV
초기의 아날로그 CCTV는 카메라에 녹화된 영상이 테이프에 녹화되어 VCR을 이용해 판독하는 방식이다. 하루 24시간, 365일 내내 녹화해야 하기 때문에 지극히 소모적이고 불편하다.
참고 자료
- Kotra 자료
- 조선일보, 2006/04/18
- 머니투데이
- ZDNet Korea, 2004/08/27
- Global Sour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