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측면에서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
- 최초 등록일
- 2007.12.16
- 최종 저작일
- 2006.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교통측면에서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해외사례 참조)에 관한 리포트
목차
1. 대기오염?
2. 자동차 배출가스 현황
3.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대책
1) 자동차 생산측면
2) 자동차 운행측면
본문내용
교통은 사람이나 화물의 운반을 위하여 장소와 장소간의 거리를 극복하기 위한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도시 생활에서 사회, 경제활동의 욕구가 일어나는 곳과 욕구가 채워지는 곳이 대부분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거리를 극복하는데 기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교통은 장소와 장소간의 움직임의 편의를 제공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렇게 인간 삶의 편의를 위해 존재해야 할 교통이 오히려 이제는 인간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교통 혼잡으로 스트레스를 가중시키고, 환경을 오염시켜 인간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있다. 이러한 교통의 주객전도 현상을 바로잡기 위해, 대기오염을 저감할 수 있는 방안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 대중교통이용
→ 정체되어 오염물질 방출,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도로 개선
→ 무공해 자동차 개발
1. 대기오염?
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질소와 산소 가스의 혼합 층을 통상 공기 또는 대기라고 부른다. 특히 인간이 활동하고 있는 지상 약 11km의 대기층을 대류권이라고 하는데 이 대류권이 대기오염의 문제가 되는 곳이며, 대기오염은 공기 중에 정상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물질이 대기 중으로 방출될 때 발생된다.
세계보건기구(WHO)가 규정하고 있는 대기오염의 정의는 “대기 중에 인위적으로 배출된 오염물질이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이 존재하여 오염물질의 양, 농도 및 지속시간이 그 지역 주민의 불특정 다수에게 불쾌감을 일으키거나 공중보건상 위해를 끼치고, 인간이나 동물, 식물의 활동에 해를 주어 생활과 재산을 향유할 정당한 권리를 방해받는 상태” 이다.
3. 자동차 배출가스 현황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은 연료성상에 따라 약간씩 다르나 휘발유나 가스연료을 사용할 경우에는 일산화탄소, 탄화수소, 질소산화물 및 미량의 황산화물 등이 주로 배출되고, 경유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외에도 매연이 더 배출된다.
참고 자료
「도시와 교통」
「도시와 교통」, Brian Richards, 태림문화사
「대기오염개론(1999)」, 서정민, 박출재, 21세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