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체시와 강독
- 최초 등록일
- 2007.11.29
- 최종 저작일
- 2007.11
- 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근체시에대해 비교적 자세히 써놓았습니다/`
목차
▣ 근체시(近體詩)의 특징
▣ 근체시(近體詩)의 형성
登幽州臺歌(등유주대가) 유주대에 올라
過香積寺(과향적사) : 향적사 가는 길
九月九日憶山東兄弟 (9월 9일 산동의 형제를 생각하며...)
본문내용
▣ 근체시(近體詩)의 특징
중국의 고체시(古體詩)에 맞서는 개념의 시체(詩體)이며, 금체시(今體詩)라고도 한다. 음절의 억양에 따른
배열법이나 대구(對句) 등 구성법에 일정한 규칙이 있는 시체이다. 오언(五言:1구가 5자)과 칠언(七言:1구
가 7자)의 절구(絶句)와 율시(律詩)의 2종이 있다.
1) 구법 : 한수의 시에는 정해진구수(句數)가 있고, 각 구에는 정해진 자수(字數)가 있어서 마음대로 증감 할 수 없다.
2) 평측 : 각구의 글자는 모두 정해진 규칙에 따라 평성 또는 측성을 사용해야하며 마음대로 바꿀 수가 없다
(1) 지켜야 할 규범
첫째, 한 句 안에서 박(읽는 시이므로 음보에 해당함)은 평측을 번갈아 대우시켜 변화미를 추구한다. 이를 위해서 二四不同, 二六對(통)라는 배치가 이루어진다.
둘째, 각구 제2, 4, 6자에 점법을 지킨다. 즉 제 2․3구, 4․5구, 6․7구의 마주보는 글자의 평측이 같다는 뜻이다.
셋째, 위의 규범들이 빚은 결과이지만, 같은 연의 출구와 대구의 상대자는 평측 또는 仄平의 배열 방식을 이루며, 같은 구 안의 평측은 平平仄仄 또는 仄仄平平이 기본이 된다.
(2) 피해야 할 규범
첫째, 평두 : 각 구의 첫 자가 모두 평성인 것.
둘째, 상미 : 제 1, 2구의 끝 자가 모두 측성인 것.
셋째, 봉요 (孤平) : 각 구의 제 3,5자가 측성인데, 가운데 제 4자만 평성인 것.
넷째, 학슬 (고仄) : 각 구의 제 3,5자가 평성인데, 가운데 제 4자만 측성인 것.
다섯째, 삼자미 : 각 구의 마지막 석 자가 모두 평성(평삼련)이거나 측성(仄三連)인 것을 피함.
3) 대우 : 두구가 서로 문자상 또는 의미상으로 짝을 이루는 것을 말하며, 대장(對仗)이라고도 한다.
참고 자료
중국문학의 이해 김학주
중국문학입문 김장환 학고방
당시학의 이해
唐詩精解 任昌淳
精言妙選 (율곡이이의 중국시선)
네이버 지식 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