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학] 중세국어에 나타난 토씨일람표
- 최초 등록일
- 2007.09.30
- 최종 저작일
- 2007.04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토씨(조사)의 개념과 유래, 구실등을 정리하고 토씨일람표를 만들어 보기 좋게 정리하였습니다. 전적으로 아래의 서적들을 참고하였으며, 해당 과목은 A+를 받았습니다^^*
목차
1. 토씨의 개념과 용어의 유래
2. 토씨의 구실
1) 자리법
2) 도움법
3) 연결법
4) 끝맺음법
5) 풀이씨와 어찌씨에 붙는 경우
3. 모든 토씨 한눈에
본문내용
2. 토씨의 구실
토씨는 일반적으로 월을 끝맺지 않음이 보통인데, 어떠한 토씨는 임자씨에 붙어서 월을 끝맺어 주는 것이 있다. 기능을 표시하지 않는 토씨 중에는 낱말이나 마디를 연결해주는 것과 말의 뜻을 더 정밀하게 표현하기 위해서 들어가는 것이 있다.
-중략-
월성분 사이의 관계를 표시해주는 문법적 방법을 자리법이라 하는데, 어떠한 말을 월의 일정한 자리에 놓아줌을 표시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뜻을 정밀히 표시해주는 문법적 방법은 도움법이라 한다. 이 방법은 임자씨와 다음 말과의 연결에서 나타나는 뜻을 돕기 때문이다. 낱말이나 마디를 연결해주는 문법적 방법을 연결법이라 하며, 월을 끝맺어 주는 방법을 끝맺음법이라 한다.
1) 자리법
월의 중심 성분은 풀이말(서술어)이다. 풀이말은 다른 여러 월성분들을 통솔하여 마디나 월을 형성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 한편 다른 월성분들은 풀이말을 향하여 거기에 종속되는데 이러한 관계를 기능이라 한다.
월성분 가운데는 직접적으로 풀이말에 종속되는 것이 있고, 간접적으로 이와 연관되는 성분이 있다. 임자말(주어), 부림말(목적어), 위치말(위치어), 견줌말(대비어), 방편말(방편어), 어찌말(부사어), 인용말(인용어) 들의, 풀이말에 대한 관계는 직접적이요, 매김말(관형어)이나 홀로말(독립어)의 풀이말에 대한 관계는 간접적이다.
-후략-
참고 자료
김승곤.『국어 토씨 어원과 용법(향가에서 1930년까지)』. 서울:역락. 2004.
허웅. 『옛말본』. 서울:과학사. 1969.
허웅. 『16세기 우리 옛말본』. 서울:샘문화사.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