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의 배양과 멸균
- 최초 등록일
- 2007.04.18
- 최종 저작일
- 2004.09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생물 실험시 필요한 배양과 멸균의 개념과 여러가지 방법들, 그리고 그 특성, 배양 실험 과정등을 조사하였다.
목차
멸균의 정의
멸균의 종류
1. 화염멸균
2. 가열멸균
3. 화학적 처리에 의한 멸균
4. 여과에 의한 멸균
배양(배지)의 정의
배지의 조성
배지의 제조
순수분리
배지의 종류
배지의 제조 실험과정
고찰
본문내용
① 화염멸균
백금이나 백금선 또는 시험관이나 플라스크의 입 언저리와 같이 불꽃에 직접 접촉하여도 안전한 물건에 묻어 있는 미생물을 불꽃으로 태워서 죽 이는 방법을 화염멸균이라 한다.
미생물을 하나의 배지에서 다른 배지로 옮겨 접종하거나 도말할 때 사용 하는 백금선이나 백금이(白金耳)는 일반적으로 지름 0.7-0.8mm의 백금선 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백금선 대신 전열기용 니크롬선을 사용하기도 한 다.
백금이나 백금선은 사용 전과 사용후에 반드시 불꽃의 외염에 45°-50° 각도로 밀어 넣어 전체가 붉게 변할 때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금속으로 되 어 있는 백금이대의 약 반 정도까지 천천히 화염에 통과시켜 멸균한다. 백 금이나 백금선에 균이나 배지 등이 많이 묻어 있는 것을 바로 외염에 접촉 시키면 균이 튀어 오염될 염려가 있으므로 이럴 때에는 내염에 먼저 접촉 시킨 후 천천히 외염으로 옮겨 멸균한다.
여과기의 종류에는 규조토로 만든 Berkefeld여과기, 카올린(Kaolin)과 규사를 혼합하여 만든 Chamberland여과기, 석면으로 된 여과판을 사용하느 Seitz여과기와 최근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아세트산 셀룰로오스(cellulose acetate) 또는 질산셀룰로오스(cellulose nitrate)로 된 인공여과막을 이용하는 여과기가 있다. 멸균에 사용되는 인공여과막의 구멍의 크기는 지름이 0.22 m인 것이 많이 사용된다. 여과기를 흡인병에 연결하고, 흡인병의 옆 가지에 탈지면으로 채운 칼슘관을 고무관으로 연결한 다음, 이 부분과 여과기를 황산지나 알루비늄 박지로 싸서 고압증기 멸균한다. 멸균된 여과장치에 연결된 고무과을 진공펌프에 연결하여 액상물질을 여과하면 균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