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호르몬
- 최초 등록일
- 2007.03.29
- 최종 저작일
- 2007.01
- 2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환경호르몬의정의 및 피해사례등등등....
목차
■ 환경호르몬 정의
● 내분비계
● 호르몬
● 환경호르몬
● 작용기전 가설
■ 환경호르몬 종류
● Bisphenol A
● Phthalates
● 스틸렌
● BHA
● 다이옥신
● DDT (Dictloro Dipheny Trichloroethane)
■ 환경호르몬 발생경로
● 대기
● 물
● 식품
● 모유
● 가정용품
● 의약품, 의료용구
■ 환경호르몬 피해사례
● 야생동물
● 성의 위협
● 각국의 피해 사례
■ 환경호르몬 대처방안
● 생활환경에서의 대처방안
● 환경호르몬 피하기 위한 7가지 생활 수칙
● 정부 및 산업체에서의 대응방안
● 각 국 최근 환경호르몬 연구 동향
● 참고문헌
본문내용
■ 환경호르몬
● 어원
○ 환경에 노출된 화학물질이 생체 내로 유입돼 마치 호르몬처럼 작용한다는 의미에서 만들어졌다.
○ ‘환경호르몬’이라는 명칭은 일본에서 사용된 명칭으로서 정확한 명칭은 ‘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이다.
○ 이것은 신체 외의 물질이 원인으로, 호르몬 즉 내분비가, 교란되는 것을 의미한다.
○ 학술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용어는 내분비교란물질(endocrine disrupter) 또는 내분비계 장애유해화학물질이다.
● 유래
○ 환경호르몬이라는 명칭이 처음 사용된 것은 1997년 5월 일본NHK에서 방송된 `사이언스 아이` 라는 TV 프로그램에서 `외인성 내분비 교란 화학물질` 보다 시청자들이 이해하기 쉬운 이름이 없을까 생각하다가 프로그램 디렉터, 이구치타이 센(井口泰泉, 요코하마 시립대학 이(理)학부 교수), 아카야마후지오(香山不二雄, 자치의과대학 조교수)의 상담에 의해 결정되었다.
○ 일본 이외 다른 나라에서도 Environmental Hormone 라고 불린 예도 있어 환경호르몬 이라는 명칭이 완전히 일본명칭은 아니다.
○ 외국에서는 `Endocrine Disruptors`(내분비 교란 물질), `Endocrine Disrupting Chemicals`(내분비 교란 화학 물질) 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적이다.
참고 자료
환경스페셜 (http://www.kbs.co.kr/1tv/sisa/environ/vod/)
환경호르몬과 다이옥신 (저자: 김종호, 서곤, 이부귀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2)
공포의 환경호르몬과 지구촌 (저자 : 류병호 경성대학교 출판부 1998)
환경호르몬 방어를 위한 처방전 (저자 : 김용순, 조명행, 정선용)
빼앗긴 미래 환경 호르몬의 공포 (저자 : 나카하라 히데오미, 후타키 쇼헤이 종문화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