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고려시대를 대표하는 3대 시화집인 파한집, 보한집, 역옹패설에 실린 내용을 분석하였다.
목차
1. 파한집
(1) 작가소개
(2) 배경
(3) 내용분석
2. 보한집
(1) 작가소개
(2) 구성과 의의
(3) 내용분석
3. 역옹패설
(1) 작가소개
(2) 시대적 배경
(3) 내용분석
본문내용
2)『파한집』의 성격과 의의
『파한집』의 ‘파한’은 한가함을 깨뜨린다는 뜻으로, 책이름만 본다면 심심할 때에 파적삼아 읽을 만한 하찮은 저술로 보이기 쉽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한자 문학, 그중에서도 한시에 있어서는 무게 있는 저서이면서 최소의 시화이다. 게다가 시평을 격조 놓은 에세이로 본다면 『파한집』은 우리나라 최초의 수필집이라고도 일컬을 수 있다. 이인로가 우리나라 최초의 시화를 저술함에 있어서 자기 자신의 시를 말한 면이나 분량 면에서 너무 간략하다는 몇 가지 결점을 가지고 있지만, 그것은 시화가 생겨난 지 얼마 되지 않은 때였으므로 초기 시화의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파한집』이 우리나라 시화의 효시를 이루었다는 중요성 외에도, 시화는 역사적인 중요한 사건들을 써 넣었다는 점에서 사료적인 가치 또한 높이 평가받는다.
『보한집』의 주를 이루는 내용은 역시 시화이다. 시화에는 옛 이야기를 곁들인 것도 있으며, 풍류를 주제로 한 것도 있다. 이러한 것 중에는 본격적인 시평도 있지만, 대개 수필의 경지에 머문 것이 많다. 이 글은 『보한집』에 실린 시화중 하나이다. 최자가 이러한 이야기를 실은 것은 그 시가 좋아서만은 아니다. 짐승도 은혜를 갚을 줄 안다는 이 대의 명분을 사람들에게도 알려서 배은망덕한 일이 없어야 하겠다는 경세의 뜻에서 일 것이다. 이러한 글은 훈계의 성격을 띤 수필로 볼 수 있다.
『역옹패설』은 저자가 스스로 뒤섞여 어수선한 글로 열매 없는 피 같은 잡문이라 말했으나, 실제에 있어서 후대인들에게 작자 당대의 현실과 문학에 대한 귀중한 자료를 남긴 책이다. 또한 『파한집』,『보한집』의 성격을 계승하였으면서도, 다양한 특징들을 포함하고 있는 귀중한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 자료
구인환 엮음, 우리 고전 다시 읽기 『보한집』, 신원문화사, 2003.
구인환 엮음, 우리 고전 다시 읽기 『파한집』, 신원문화사, 2003.
박창희, 제16회 한국 고전연구 심포지엄 :「보한집의 종합적 검토」, 진단학회, 1988.
이상익 외 2명,『고전수필 어떻게 읽을 것인가』, 집문당, 1999.
장덕순,『한국수필문학사』, 새문사, 1985.
전미영, 「최자의 보한집에 나타난 시평의식」, 인하대 교육대학원(석사학위논문), 1990.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최강현, 『한국수필문학 신강』,서광학술자료사, 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