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환경]자동차 배출가스와 대기오염
- 최초 등록일
- 2007.02.16
- 최종 저작일
- 2007.02
- 11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인간과환경]자동차 배출가스와 대기오염
목차
Ⅰ.서문
Ⅱ.본문
1.배출가스의 정의와 오염 현황
1)자동차 배출가스란?
2)자동차 천만대 시대
3)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피해를 비용으로 계산하면?
4)선진국보다 우리나라가 자동차로 배출가스로 인한 오염이 심하다?
2.배출가스가 인체와 대기오염에 미치는 영향
1)대략적으로 어떻게 피해를 끼치나?
2)특히 매연으로 인한 미세먼지가 문제다?
3)경유차는 오염의 주범
4)스모그는 발암물질?
3.배출가스로 인한 대기오염 줄이기 대책
1)자동차 기계변환 장치로 배기가스 줄이기
2)청정연료를 사용하여 배기가스 줄이기
3)정책적 대책
4)예방적 접근 필요
Ⅲ.에필로그
Ⅳ.첨부자료(대기오염 사진)
1.뿌연하늘(주간/야간)
2.배기가스를 내뿜는 자동차(주간/야간)
3.자동차의 천국
본문내용
1.배출가스의 정의와 오염 현황
1)자동차 배출가스란?
휘발유나 경유, LPG 등의 연료가 엔진에서 공기와 혼합 연소되어 나오는 배출가스를 의미하는 것으로 배출가스는 대부분 무해한 질소와 수증기, 이산화탄소로 배출되지만, 차량의 상태나 운전조건에 따라 사람의 건강과 생활환경에 해를 끼치는 일산화탄소(CO), 탄화수소(HC), 질소산화물(NOX)로도 많이 배출되고 있다. 또한 사용연료에 따라서 휘발유, LPG 차량은 CO와 HC가 경유차량은 매연이 주로 배출되고 있다.
2)자동차 천만대시대
천만대 시대의 자동차는 대기오염의 상징이다. 공장, 난방, 발전으로 인한 대기오염은 줄어든 반면 자동차의 기여율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자동차가 1백만대였던 85년 서울의 경우, 자동차는 전체 대기오염물질의 27․4%를 발생시켰다. 그러나 이 비율은 1천만대 시대를 맞은 올해 80․6%로 급상승했다. 6대 도시를 따져보면 24․5%에서 59․2%로 증가했다. 차종별로는 경유차량이 대기오염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친다. 경유차량은 전체의 5%에 불과하지만,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에 있어서는 70%(서울은 57%)를 차지한다. 서울지역 자동차 매연의 98%, 질소산화물의 82%는 경유차량에서 나온다는 분석이다. 자동차 대기오염물질중 미세먼지와 질소산화물은 이미 위험수위에 도달한 것으로 환경부는 분석하고 있다.
3)자동차 배출가스로인한 대기오염피해를 돈으로 계산하면?
자동차 배출가스로 인한 의료비 부담과 노동상실 등 사회적 피해 비용이 연간 3조3천억원으로 추산됐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