빌리엘리어트 영화 속 등장인물 분석
- 최초 등록일
- 2006.12.03
- 최종 저작일
- 2006.08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빌리 엘리어트 영화속 등장인물분석
목차
1. 영화 줄거리 요약
2. 선택한 주인공 기술-이유
3. 분석이론
①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 이론
▮ 프로이드의 성격 구조론
▮ 영화 “빌리 엘리엇”에서의 성격 구조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잠재기
▮영화 “빌리 엘리엇”에서의 심리성적 발달단계 - 잠재기
② 안나 프로이트의 방어기제 이론
▮ 억압(repression) & 부정 (denial)
▮ 전치(displacement) & 반동형성(reaction formation)
▮ 합리화(rationalization)
▮ 승화(sublimation)
③ Erikson의 심리 사회학적 발달 이론 분석
1) 신뢰감을 통한 희망의 획득
2) 인간의 행동과 기능의 기초로 원초아보다 ‘자아’를 강조
3) 삶의 심리사회적 위험을 극복할 수 있는 인간능력에 관심
④ Adler의 개인 심리학적 성격 이론 분석
1) 열등감 vs 보상
2) 우월을 향한 추구
⑤ 융의 분석심리학적 성격이론
1) 페르소나(Persona)
1-1) 영화 “빌리 엘리엇”에서의 페르소나
2) 아니마(Anima) 와 아니무스(Animus)
2-2) 영화 “빌리 엘리엇”에서 보여주는 아니마
⑥ Skinner의 행동주의 학습 이론 분석
⑦ Rogers의 무조건적인 긍정적 관심(unconditional positive regard)
4. 느낀점
본문내용
▮ 영화 “빌리 엘리엇”에서의 성격 구조론
영화 속에서 빌리는 발레를 배우는 것을 반대하는 아버지와 형을 설득함으로써 춤을 향한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킨다. 우리는 이 과정에서 프로이드의 성격 구조론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빌리는 춤을 추고자 하는 강한 욕구를 가지고 있다. 발레를 통해 빌리는 욕구의 만족과 발산을 경험한다. 이점에서 우리는 쾌락원칙을 따르는 빌리의 id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빌리의 id는 도덕원칙을 따르는 빌리의 super ego와 충돌하게 된다. 빌리는 강인함과 투쟁적인 탄광촌 사회의 이상, 즉 아버지와 형과의 이상과 반대되는 행동(여성성의 색이 짙은 발레)을 한다는 것에 죄책감을 가짐으로써 (super ego) 이것은 빌리에게 쾌락을 주는 춤을 추고자하는 욕구 (id)와 충돌하게 된다. 그러나 빌리의 자아(현실원칙을 따르는)가 올바르게 id와 super ego사이에서 조절자의 역할을 함으로써 (크리스마스에 아버지에게 자신의 춤을 보여줌으로써 아버지를 설득함- ego의 역할로 보인다.) 자신의 쾌락원칙을 따르는 욕구를 사회적으로 용인되는 방식으로 올바르게 충족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프로이드는 id를 성적, 공격적 쾌락을 추구하는 욕구로 설명하고 있으나 우리 조는 빌 리가 자신의 쾌락만을 위해 추는 춤 또한 id로 해석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