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시와 현실
- 최초 등록일
- 2006.11.13
- 최종 저작일
- 2006.01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현대시에 대한 자료. 특히 윤동주시인에 대한 내용
목차
1. 서론
- 리포트를 쓰게 된 동기
- 현대시를 분석하는 방법
2. 본론
- 윤동주(작가 소개, 시대 소개)
① 서시
② 쉽게 씌어진 시
③ 참회록
3.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 본 리포트에서는 현대시의 자주적인 분석을 통해 시에 대한 해석방법을 익히고 지 금하고 있는 현대시에 대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지고자 한다.
1. 시적 상황 파악하기
시적 상황이라는 것은 시 속에 있는 인물의 상황이다. 인물은 주로 화자일 것이다. 물론 청자나 시적 대상일 수도 있다. 그 외에 시에 반영된 현실의 상황도 시적 상황이 된다. 시적 상황은 시에 들어 있는 이야기의 기본이다. 시적 상황의 파악을 통해 시적 화자, 그리고 나아가서 시적 화자의 정서와 태도를 구체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2. 시적 화자의 정서 파악하기
정서는 쉽게 말하면 감정이나 느낌의 상태를 말한다. 정서는 시인이 주제를 드러내기 위해 화자의 입을 통해 말하고자 하는 ‘무엇’이다. 우리가 어떤 정서를 갖게 되고 표현하게 되는 데에는 동기가 있듯이 시 속에서 화자의 정서도 특정한 동기를 가지고 있다. 그 정서적 동기, 즉 계기를 파악하는 것이 시적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는 핵심이다.
3. 시적 화자의 태도 파악하기
시적 상황과 화자의 정서를 파악하였다면 시적 화자의 태도를 파악하여야 한다. 시적 화자의 태도란 삶의 태도로서 화자가 인생이나 대상에 갖는 태도가 긍정적인지, 부정적인지, 비판적인지, 우호적인지 등으로 파악할 수 있다. 시적 화자의 태도가 파악되면 시의 주제는 드러나게 된다.
4. 표현상의 특징 파악하기
시는 다른 글과는 달리 어떤 생각이나 느낌을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는다. 오히려 시는 의미를 모호하게 하여 화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간접적으로 드러내는 표현 방식을 택한다. 이를 통해 시적 언어가 갖는 함축성, 긴장미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를 파악하지 않고는 시의 의미가 전면에 드러나지 않는다. 비유나 상징, 역설, 반어, 대구, 대조, 반복 등의 표현 방식, 시상을 전개시켜 가는 방식 등을 이 훈련 단계를 통해 이해함으로써 시를 분석ㆍ감상하는 기초 훈련을 달성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