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길동전의 인물분석
- 최초 등록일
- 2006.11.02
- 최종 저작일
- 2006.11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고전소설론 [홍길동전] 의 인물 분석과 그 한계에 대해서 서술합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인물분석
1. 성리학적 인간관
2. 인물분석
2.1. 홍길동과 활빈당
2.2. 홍길동의 가족과 주변 인물
2.3. 봉건지배층
3.『홍길동전』의 인간상과 인간 관계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홍길동’이란 이름이 우리에게 친근하듯이, 소설 <홍길동전>의 줄거리 또한 모두가 잘 알고 있다. 간단히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이조판서를 지낸 홍대감의 서자로 태어나 집안의 천대를 견디다 못한 길동은 가출하여 산속의 도둑떼를 거느리고 활빈당을 조직한다. 신출귀몰하는 재주로 전국을 다니며 탐관오리의 부정한 재물을 빼앗아 가난한 백성을 도우고, 죄가 큰 관리는 직접 처단하기도 한다. 나라에서 길동을 잡으려고 온갖 방법을 써 보지만 잡지 못한다. 결국 길동은 바라는대로 병조판서에 임명되고서야 임금 앞에 나선다. 다시 무리를 이끌고 나라를 떠나 제도에 자리잡았다가 이웃의 율도국을 쳐서 빼앗고 70년 동안 다스리다가 하늘로 올라간다. 김성재, 『홍길동전』, 현암사, 2000, 11쪽
<홍길동전>에는 여러 이본이 있으므로 위에 인용한 줄거리와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지만, 크게 보아 대부분 이런 내용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내용을 담고 있는 <홍길동전>의 작가는 어떤 인물을 <홍길동전>의 핵심소재로 삼았는지에 대해 학자들 간에는 이견이 많다. 설성경, 『홍길동전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이에 따라, <홍길동전> 안의 인물을 중심으로 그 성격을 분석하여, 작가가 추구하는 인간상과 인간관계가 무엇인가를 풀어갈까 한다.
Ⅱ. 인물분석
줄거리에서부터 알 수 있듯이, <홍길동전>은 당대 지배이념을 철저히 부정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선 그 당대에 이상적으로 생각했던 인간상과 인간관계는 무엇인지 살필 필요가 있다.
조선조는 성리학을 통치의 기본 이념으로 삼았다. 성리학에서는 인간을 자연적 욕망을 제거하고 도덕규범을 실천하지 않으면 안되는 규범적 존재로 인식한다. 이러한 인간관에 기초해서 가부장적 인간관계와 윤리체계를 기본적인 인간관계로 보고 있으며, 이것은 지배계급과 생산계급의 지배-예속 관계를 인정하는 것으로, 신분적 상하관계를 옹호하는 것이다.
<홍길동전>에서 주인공인 길동이 극복하려는 것은 당대 사회를 지배하고 있던 성리학적 이념이다. 이 지배이념은 인간을 제약하는 속성을 가진 봉건시대의 이념이므로 긍정적인 가치를 가졌다고 볼 수 없다. 그리고 실제로 <홍길동전>이 창작되던 당시에 이미 이 유교이념은 지배이념으로서의 위치를 상실하고 있었다. <홍길동전>은 삶의 질곡이 되어버린 가부장제에 기초한 봉건적(유교적) 인간상과 인간관계에 대한 비판 뿐 아니라 여기에 대항하여 이를 극복하기 위한 투쟁이 주가 된다.
참고 자료
김성재, 『홍길동전』, 현암사, 2000
설성경, 『홍길동전의 비밀』, 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이윤석, 『홍길동전 연구 ~서지와 해설~』, 계명대학교출판부, 1997
이이화, 「허균의 진보적 혁신사상」,『문학사상』5호, 문학사상사, 1973
정주동, 『홍길동전 연구』, 문호사, 19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