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캠퍼스북
  • 파일시티 이벤트
  • LF몰 이벤트
  • 서울좀비 이벤트
  • 탑툰 이벤트
  • 닥터피엘 이벤트
  • 아이템베이 이벤트
  • 아이템매니아 이벤트

[의학]비만의 의학적 정의 및 관련 질병, 최신 논문과 학설

*규*
최초 등록일
2006.10.19
최종 저작일
2006.01
19페이지/워드파일 MS 워드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비만의 정의와 비만 인구의 분포, 비만의 원인및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하여 최신 논문들을 활용하여 자세히 작성했습니다.
래퍼런스는 논문 규격에 맞게 작성하였고 (작성자, 논문제목, 실린 잡지, 연도, 페이지) 총 20개의 레퍼런스를 사용했습니다.

목차

서론
본론
비만의 정의
비만의 역학
비만의 원인
비만의 질병의로써의 의의
비만과 관련된 질병
결론

본문내용

비만의 기준
흔히 우리가 비만이라고 할 때는 겉보기에 뚱뚱해 보이는 사람이므로 기준이 다소 주관적이거나 모호하다. 하지만 비만을 질병으로 ‘진단’ 하기 위해서는 보다 뚜렷한 기준이 필요하고 또한 비만의 정도를 판단할 기준 역시 필요하다. 이에 따라 WHO(세계보건기구) 에서는 BMI라는 개념을 인용하여 25.0에서 29.9 kg/m^2 을 과체중이라고 정의하였고 30.0 이상일 경우를 비만이라고 정의하였다. 그러나 최근 비만에 의한 한국인 에서의 사망률 조사에 의하면 동양인은 좀더 낮은 비만도에서 서양인에 비해 사망률이 높고 작은 체구를 지니므로 체질량 지수 23.0에서 24.9사이가 가장 낮은 사망률을 기록하였고 그 이하와 이상에서 사망률이 높아졌으므로 동양인에서의 BMI는 25.0 이상을 비만으로 보는 경우도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아시아에서의 비만 기준을 보면 아래 표와 같다. 그 외에 한국 비만학회에서는 복부비만이 많은 질병의 진단 기준이 되므로 최근 복부비만의 기준을 남자 허리 36인치 이상, 여자 허리 34인치 이상으로 키에 관계 없이 정의 하였다.
비만과 관련된 지표들과 개념
우선 위에서 비만을 정의할 때도 사용된 BMI가 있다. 이것은 표준 체중을 계산하는 방법으로 세계 공통으로 사용되고 있다. BMI 즉, 체질량지수의 산출 방법은 다음과 같다
키(m)^2/몸무게(Kg)
이 수치는 체지방률과의 연관성이 좋고 측정이 쉬워 가장 많이 사용 되고 있다. 하지만 이 수치가 절대적일 수는 없다. 왜냐하면 골밀도가 높은 사람과 근육이 많은 사람 등 인체 구성성분에 개인차가 존재하고 체지방률을 측정하는 절대적인 수치가 아니기 때문이다. 체지방을 구하는 가장 정확한 방법은 사람이 수조 속에 들어가 비중을 재어 몸무게와 비교하는방식, 즉 수중 체밀도법이 있다. 지방은 밀도가 낮고 근육과 뼈는 밀도가 높기 때문에 밀도차를 몸무게와 비교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매우 번거로운 방식이므로 생체 임피던스 측정법(BIA)가 고안되었다. 1983년 노보에르 박사가 몸 속의 수분과 전기 저항과의 관계를 밝혀내면서 이 방법이 실용화 되었다. 인체의 구성성분중 전류가 통과하는 것은 전도성이 높은 물밖에 없다. 따라서 몸 안에 물이 많으면 전기 저항이 낮아지고 이에 따른 원리로 물의 부피를 알아낼 수 있다. 그리고 몸속의 물의 부피를 알아내면 지방을 제외한 근육량을 산출할 수 있는데 근육의 73%정도가 물이라는 원리를 이용한다.

참고 자료

(1) World Health Organization. Obesity: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pidemic. Albany,NY:World Health Organization,2000
(2) Sun Ha Jee, Jae Woong sull, Jungyoung Park, Sang-Yi Lee heechoul Ohrr Eliseo Guallar Jonathan M. Samet. Body-Mass index and mortality in Korean men and women. N Engl J med 2006;355;8
(3) Gu D, He J, Duan X, Reynolds K, Wu X, Chen J, Huang G, Chen CS, Whelton PK. Body weight and mortality among men and women in China. JAMA. 2006 Feb 15;295(7):776-83.
(4) Hedley AA, Ogden CL, Johnson CL, Carroll MD, Curtin LR, Flegal KM. Prevalence of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US children, adolescents, and adults, 1999-2002. JAMA. 2004 Jun 16;291(23):2847-50.
(5) Bray GA. Etiology and pathogenesis of obesity. Clin Cornerstone 1999;2:1-15.
(6)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Consensus Develpoment Panel on the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l Health implications of obesity. Ann Intern Med 1985;103:147-151
(7) 채경혜. 비만. ㈜신원문화사. P27.
(8) 한국일보 2003-06-22 ‘몸의 체지방 어떻게 구하나’
(9) 최권희. 등속도의 걷기 운동과 조깅 운동이 신체조성 및 비만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강대학교 대학원 학사논문 2000
(10) Zhang S, Gershenfeld HK. Genetic contributions to body weight in mice: relationship of exploratory behavior to weight. Obes Res. 2003 Jul;11(7):828-38.
(11) Maes HH, Neale MC, Eaves LJ.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relative body weight and human adiposity. Behav Genet. 1997 Jul;27(4):325-51.
(12) Dhurandhar NV. Infectobesity: obesity of infectious origin. J Nutr. 2001 Oct;131(10):2794S-2797S.
(13) Dhurandhar NV, Whigham LD, Abbott DH, Schultz-Darken NJ, Israel BA, Bradley SM, Kemnitz JW, Allison DB, Atkinson RL. Human adenovirus Ad-36 promotes weight gain in male rhesus and marmoset monkeys. J Nutr. 2002 Oct;132(10):3155-60.
(14) McGill HC. MCMhan CA, Herderick EE, et al. Origin of atherosclerosis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Am J Clin Nutr. 2000 Nov;72(5 Suppl):1307S-1315S.
(15) Eckel RH. Krauss RM. American Heart Association call to action: obesity as a major risk factor for coronary heart disease. AHA Nutrition Committee. Circulation. 1998 Jun 2;97(21):2099-100.
(16) M. L. Daviglus, K. Liu, L. L. Yan, A. Pirzada, D. B. Garside, L. Schiffer, A. R. Dyer, P. Greenland, and J. Stamler. Body Mass Index in Middle Ag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lder Age: The Chicago Heart Association Detection Project in Industry Study. Archives of Internal Medicine, November 10, 2003; 163(20): 2448 - 2455.
(17) Lakka TA, Lakka HM, Salonen R, Kaplan GA, Salonen JT. Abdominal obesity is associated with accelerated progression of carotid atherosclerosis in men. Atherosclerosis. 2001 Feb 1;154(2):497-504.
(18) 인슐린비의존성 당뇨병 - 엔젤팜 http://www.angelpharm.co.kr/disease/sub_desease/non_ins
(19) Boden G. Free fatty acids (FFA), a link between obesity and insulin resistance.
Front Biosci. 1998 Feb 15;3:d169-75.
(20) Youfa Wang, Eric B Rimm, Meir J Stampfer, Walter C Willett and Frank B Hu Comparison of abdominal adiposity and overall obesity in predicting risk of type 2 diabetes among men Am J Clin Nutr. 2005 Nov;82(5):1134; author reply 1135.
*규*
판매자 유형Bronze개인

주의사항

저작권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환불정책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런 노하우도 있어요!더보기

최근 본 자료더보기
탑툰 이벤트
[의학]비만의 의학적 정의 및 관련 질병, 최신 논문과 학설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
  • 레이어 팝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