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과학]언론사 입사의 현황과 문제점
- 최초 등록일
- 2006.10.03
- 최종 저작일
- 2006.09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최근 언론사입사에관한 문제점의 현황과
해결방안에대한 깔끔하게 정리된 보고서 입니다 ^^
a+ 맞으세요~
목차
✤서론-한국 언론사 입사의 현황
1. 실력 보다 상식, 영어, 논술
2. 문제제기-기자 선발, 과연 성적순으로 하는 것이 옳은 것인가
✤본론 -한국 언론사 입사의 문제점
1. 학교교육과 직업현장의 괴리와 개선점
-사설 아카데미로 몰리는 예비언론인들
2. 대학교육과 현장의 괴리
✤결론-해결방안
1. 구미 선진국들의 기자채용방식을 살펴보면
2. 대학교육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2-1.기자출신 강사의 강좌를 대폭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2-2.각 언론사와 산학협동 방식으로 현장교육을 실시해야한다.
2-3. 예비 언론인의 인문학적 소양을 배양하는 것에 투자해야한다.
3. 언론사들의 노력
본문내용
2. 대학교육 어떻게 바뀌어야 하는가
한국의 기자채용 방식은 대부분 공채제도를 통해 기자를 선발하여 3~6개월 연수 후 정식 기자로 발령 내는 방식이다. 하지만 미국 언론사들은 공채제도를 채용하지 않는다. 주로 우리의 신문방송학과에 해당하는 저널리즘 스쿨에서 매체에 대한 실무교육을 집중적으로 받은 후 바로 지역신문에서 기자로 활동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들 지역신문 기자들은 5년 이상 경력을 쌓은 후 뉴욕타임스나 워싱턴포스트 같은 유력지로 스카우트된다. 이 같은 시스템이 가능한 것은 대학에서 예비 언론인에 대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이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 대학의 언론인 교육도 현장에서 필요한 인재 육성을 위해 보다 세부적이고 전문적인 커리큘럼 조정과 신설이 필요하다. 또 이에 맞는 현장 전문가 강사 확보도 시급한 상황이다. 이를 위해 현재 언론정보학과나 신문방송학과로 통칭되고 있는 언론관련 학과를 언론행정학과, 언론연구학과, 편집학과, 신문기자학과, 방송기자학과, 방송기술학과, 프로듀서학과, 촬영학과, 웹진학과, 광고문안학과 등으로 세분화하자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설득력 있는 주장이다.
2-1.기자출신 강사의 강좌를 대폭 늘리는 것이 필요하다
현재 일부 대학에는 현직기자 출신을 초빙한 강의가 개설돼 있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태부족하다. 때문에 기자가 강사로 초빙된 강의는 언제나 수강생이 몰린다. 이들 강의내용들이 실제 언론사 입사에 도움이 되기도 하지만, 언론인 강사의 입을 통해 언론현장의 생생한 경험을 들을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