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키치의 기원과 변천사
- 최초 등록일
- 2006.07.14
- 최종 저작일
- 2006.06
- 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프리젠테이션 을 위한 조별 레포트 입니다.
연대별로 키치에 대한 변화 과정을 설명했습니다.
많은 도움이 되실거에요 ^^
목차
서론
A. 키치의 어원
B. 한국 키치(이발소 그림)의 어의
본론
A. 한국 키치의 발생
B.한국의 키치미술의 변천과정의 시대적 분류
1단계(1910-1950한국전쟁 전)
1)시대적 상황
2)주제
3)작품
2단계(1950-1980년대)
1)시대적 상황
2)주제
3)작품
3단계(1980-현재)
1)시대적 상황
2)작품
3.이발소 그림에 나타난 키치 문화적 특성
1)상투적
2)감상적
3)자기기만적
4)현실 도피적
5)쾌락 주의적
6)기복적
결론
본문내용
A. 키치의 어원
현대 문화에서 키치란 용어가 대중적인 소통어로 국제적 지위를 획득한 것은 20세기초인 1910년경이나 그 어원의 발생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첫째는, 키치란 용어는 아주 근대적인 것으로 18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에 뮌헨의 화가와 화상들 사이의 속어로 사용되었으며, 하찮은 예술품을 지칭하여 쓰였는데 몇몇의 작가들은 이 독일 단어가 영어의 스케치 sketch에서 유래했다고 믿고 있다. 그것은 뮌헨의 화상들이 외국 여행자들을 대상으로, 특히 영국계 미국인들이 기념품으로 주문하여 사가던 싸구려 그림들을 부르는 과정에서 영어의 ‘스케치’발음이 독일어식 발음인 ‘키치’로 바꾸어 생긴 조악한 용어로 보는 견해이다. 이것은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태동되었다고 볼 수 있다.
둘째는, 키치를 애매한 독일어 동사인 키췐(kitschen)과 연관시켜 해석하는 것인데 루트비히기츠(Ludwig GIesz)는 키치의 현상학에서 “거리의 쓰레기들을 수집한다”는 뜻으로 받아들였고, k해리스(Karsten Harries)는 키치란 진흙을 가지고 그것을 손으로 문대며 놀이를 한다는 뜻으로 해석했다. 즉, 아이들이 진흙을 가지고 노는 놀이를 즐겼을 때 옷이 불결하고 더러워지는 ‘얼룩’과 같은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그처럼 키치는 지저분한 놀이라는 통념의 개념을 대변한다.
셋째는, 길버트 하이어트(Gillbert Highet)는 러시아 동사인 keecheetsya에서 파생된 ‘건방지고 우쭐대는 것’을 의미하는 용어라고 주장하는데 ‘저속한 치장이나 말썽을 많이 일으키는 모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밖에도 메를렌부르크 방언에서는 ‘값싸게 만들다’라는 뜻으로 쓰이는 훼르키췐(verk-itschen)이라는 말에서 기원을 삼기도 한다. ‘은밀히 불량품을 속여 사게 한다’혹은 우리말의 속어인 ‘가짜’라는 가치평가적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 용어에서 전해 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비록 그 어원은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키치는 1910년이후 현대에서 뚜렷하게 그 용어의 의미가 일정한 방향으로 쓰여지고 있고 그 어원만큼이나 값싸고, 쓰레기 같고, 폐기물 혹은 가짜(짜가)로서의 이미지의 군으로 그 어원의 분위기가 형성되어 있다는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