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각국의 전자정부 실태와 특징(영국)
- 최초 등록일
- 2006.06.09
- 최종 저작일
- 2005.11
- 1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판매자sy****
16회 판매

소개글
각국의 전자정부 실태와 특징
- 영 국 -
목차
Ⅰ. 영국 전자정부의 개념
Ⅱ. 영국 전자정부의 지향점 · 목표
Ⅲ. 영국 전자정부의 추진배경
Ⅳ. 영국 전자정부의 추진 주체
Ⅴ. 영국 전자정부의 추진현황
Ⅵ. 영국 전자정부의 주요사업
Ⅶ. 영국 전자정부 추진 성과
Ⅷ. 영국 전자정부 장기 발전계획
Ⅸ. 효율성, 대응성, 민주성, 측면에서 바라본 영국 전자정부
Ⅹ. 영국 전자정부의 문제점
Ⅺ. 시사점
Ⅻ. 결론
본문내용
Ⅰ. 영국 전자정부의 개념
영국은 1996년 공공서비스처 장관인 Roger Freeman에 의하여 발표된 녹서에서부터 전자정부의 개념을 찾아볼 수 있다. 이전까지는 전자적인 정부서비스의 제공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던 영국이 이 녹서에서부터 전자정부의 개념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녹서에서 전자정부는 “정부가 고객이라고 할 수 있는 일반국민과 기업에게 제공하는 각종서비스를 전달함에 있어 종래의 전통적인 수단이외에 발전된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을 적용하여 서비스를 확대하고 서비스의 질을 향상시키는 한편 정부행정의 효율성을 높여 나가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다.
Ⅱ. 영국 전자정부의 지향점 · 목표
◎ 정부 스스로 획기적인 사회변동의 적극적 일원이 된 다.
◎ 국민과 민간기업에 대한 보다 나은 행정서비스를 제공 한다.
◎ 질 높은 행정서비스, 보다 나은 정책결정, 보다 효율적인 정부운영을 위해서 정부의 정보를 귀중한 자원으로 간주하고 효과적으로 활용 한다.
◎ 공공부문의 전 영역에 걸쳐 e-business 방식을 적용하여 행정관리를 개선 한다.
또한 영국은 다음의 4개 원칙에 기초하여 전자정부의 구현을 도모하고 있다.
◎ 시민편익에 대한 초점 : 양질의 서비스를 쉽게, 편리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전달한다. 또한 시민이 정부의 조직, 기능 등을 모르는 상태에서도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다.
◎ 접근성 높은 서비스 : 전자적으로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모두 전자적으로 제공한다.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인터넷을 적극 활용한다. 개인용 컴퓨터를 포함하여 이동전화, 디지털 TV, 전화상담 등의 각종 매체를 서비스전달의 도구로 이용한다. 전자적 서비스가 제공되는 경우에도 공무원과의 대면접촉은 여전히 중요한 공공서비스 전달방식이다.
◎ 포함성(Inclusiveness) : 국내에 있거나 혹은 국외에 있거나 영국 국민이면 누구에게나 각종 매체를 통해 서비스를 제공한다.
참고 자료
한국전산원,「주요 4개국 전자정부 비교· 분석」2003
한국전산원,「주요국의 전자정부서비스 벤치마킹 2001」,2001
한국전산원, 「주요선진국의 전자정부 추진체계분석」 2000.12
한국전산원, 「영국의 정부개혁전략 실행계획」2006
한국전산원, 「세계주요국가의 전자정부동향 분석」2005
한국전산원, 「범정부차원의 전자정부서비스 전략」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