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대기오염과 식물연료 자동차
- 최초 등록일
- 2006.06.08
- 최종 저작일
- 2006.06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판매자ost****
10회 판매

소개글
대기오염 과 식물연료자동차 에 관한 글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론
1. 대기오염 주범 자동차
2. 자동차 공해 미치는 영향
3. 식물연료로 달리는 자동차
1) 식물연료란?
2)식물연료는 무엇이 좋은가?
3)오염물질 배출 테스트
4)식물연료 이용하는 법
5)식물연료 사용하는데 문제점은 없나?
3. 결론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대도시 대기오염의 주범은 자동차 배기가스라는 것이 중론이다. 특히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일산화탄소 등은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절대적이다. 환경부가 최근 발표한 ‘발생원별 대기오염물질 총배출량(2001년,수도권)’을 보면 미세먼지는 자동차가 차지하는 비율이 67%,일산화탄소는 85.9%,이산화질소는 51.3%였으며 대기오염물질 전체적으로는 38.2%가 자동차에서 배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동차의 연료별 오염물질 배출현황(2001년,수도권)을 보면 미세먼지와 이산화질소, 이산화황은 경유자동차의 배출 비중이 상당히 높았다. 전체 자동차중 경유차가 차지하는 비율은 27.8%에 불과하지만 경유차의 미세먼지 발생비율은 100%,이산화질소는 76.7%,이산화황은 76.2%를 기록했다. 주목할만한 대목은 최근 경유를 사용하는 다목적자동차(RV)가 증가하면서 RV차량의 대기오염 발생 기여율이 급격히 높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RV차는 2000년 27만여대(전체차량의 4.9%)에서 2001년 48만5000여대(8.1%)로 2배 가까이 늘면서 미세먼지 발생비율은 4.2%에서 16.8%로 4배,이산화황은 1.4%에서 12.6%로 10배 가까이 폭증했다.
반면 휘발유자동차는 일산화탄소(51.9%)의 배출비중이 높은 편이고 LPG차량의 오염물질 배출량은 경유나 휘발유에 비해 현저히 낮았다.
대기오염의 주요인이 자동차라는 사실은 자동차 통행량이 줄거나 늘어난 경우 대기오염도 결과에서도 실증적으로 드러난다. 대표적인 예가 청계천이다. 지난해 7월 하루 18만여대의 차량이 다니던 청계고가도로가 철거되기 시작하자 도심 진입 교통량이 2.3%가량 줄어들면서 청계천 주변 공기가 맑아졌다. 서울시 시정개발연구원의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7∼9월 미세먼지의 평균 오염도는 53㎍/㎥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58㎍/㎥에 비해 감소했다. 또 이산화황은 0.007ppm에서 0.004ppm으로,일산화탄소는 0.93ppm에서 0.067ppm으로 급격히 줄었다.
참고 자료
『발생원별 대기오염물질 총배출량』(2001년, 수도권) 환경부
『자동차의 연료별 오염물질 배출현황』(2001년, 수도권) 환경부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중 자동차부문 기여도』(2003) 환경부
『도로현황조서』(2001), 건설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