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결로현상
- 최초 등록일
- 2006.06.07
- 최종 저작일
- 1997.01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600원

판매자tor**** (본인인증회원)
22회 판매

소개글
결로현상에 대한 레포트 입니다...
목차
Ⅰ.서론
Ⅱ.본론
Ⅲ.결론
본문내용
Ⅰ.서론
결로란 내부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물체 표면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을 말하는데, 일반적으로 실내외 온도차가 큰 한냉지 건축에서 흔히 발생하며 물방울 낙하, 내장재 오손, 동결 등 건축물 내구성을 약화시키며, 특히 한번 결로가 발생하면 소멸되지 않고 계속 번지는 특성이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결로현상의 원인 및 방지대책과 그 종류 등에 관해 알아본다.
Ⅱ.본론
1.결로의 종류
1) 표면결로(surface condensation)
표면결로는 건물의 표면온도가 접촉하고 있는 공기의 포화온도9노점온도0보다 낮을 때에 그 표면에 발생한다. 그 예로는 맑은날 밤에 지표면과 식물표면에 생기는 이슬 또는 욕실의 거울위에 서리는 김, 난방된 실내에서 창문의 찬 표면에 생기는 물기등이 있다.
건물내의 이와 같은 표면결로는 결로가 발생하는 표면이 불투수성이라면 간단하게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랭기후에서의 창에는 내측창면에 결로수가 생기므로 이것이 흐르도록 적당한 구멍을 설계해야 한다.
표면결로는 시간에 따라 일시적인 결로와 지속적인 결로로 구분된다.
①일시적인 결로
절대습도가 표면온도조건에 비해서 급속히 증가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추운 욕실에서샤워를 하면, 1분 이내에 벽에물방울이 생기며, 뚝뚝 떨어진다. 소위, 결로방지용 페인트는 결로 자체를 조절하는 것이 아니며, 그 상태에 대처하기 위한 것이다. 이것은 대단히 흡수성이 높으므로 결로수를 빠른 시간에 흡수하여 확장되는 것을 억제하며, 그 후에 결로수는 증발된다. 일시적은 결로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공조를 하고 있는 건물에서 문 또는 창이 열려 있으면 2,3분 동안에 들어온 습한 공기 는 나무, 직물 등 표면에 결로가 발생하는 원인이 된다.
-중량구조물에서는, 추운 계절이 끝날 때 갑자기 따뜻해지면 결로가 일어난다. 표면은 따뜻해지므로 결로는 내부결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일시적인 결로는 조절이 거의 불가능하다. 설계자느 s이 발생의 가능성을 고려하여 만일 그런 위험이 있으면 주기적으로 건습에 견딜 수 있는 강한 재료만을 사용 하는 것이 좋다.
②지속적인 결로
-구조체의 단열이 잘 안되어 표면온도가 낮을 때
-실내습도 발생이 극심한 경우에 일어난다. 지속적인 결로는 건물의 각 부위에 나타나 며, 벽과 천장은 일정한 전도율을 갖게 되므로 결로 현상이 일정하게 일어난다. 그러나, 바닥은 모서리 부분에서 심하게 일어난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