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파리의 미국인
- 최초 등록일
- 2006.06.03
- 최종 저작일
- 2006.04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원

판매자shy03****
27회 판매

소개글
`빈센트 미넬리` 감독의 파리의 미국인 입니다.
목차
1. 뮤지컬 영화는 철저한 오락이다.
2. 뮤지컬 영화의 구성요소.
3. `파리의 미국인`이 주는 잠재력.
4. 감상
본문내용
1. 뮤지컬 영화는 철저한 오락이다.
이야기를 노래나 음악적인 방법으로 전하는 것은 인간의 타고난 재주이자 본능이다. 대표적인 영화장르에서 뮤지컬이 이에 속하는데, 이 장르는 사전지식 혹은 내러티브의 흐름 등을 꿰고 바짝 긴장하고 있어야하는 타 장르의 영화와는 달리 철저히 오락적이다. 뮤지컬 영화는 그냥 보고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그래서 전혀 난해하거나 무겁거나 지루하지 않다. 관객은 그거 가만히 앉아있으면 음악과 춤이 귀와 눈을 즐겁게 해준다. 그렇다고 해서 뮤지컬 장르의 영화가 형식도 없는 가벼운 영화라는 것은 아니다. ‘파리의 미국인’보다는 1년 후에 만들어진, 대중들에게 더 알려져 있는 ‘Singing In The Rain`의 주인공인 진 켈리 가 ’파리의 미국인‘에서 열연한다. 배우들의 화려한 스텝과 노래로 우리를 빠져들게 하고 다분히 연극적인 세트와 소품들이 또 한번 즐거움을 준다. 헐리우드식의 낙관적인 뮤지컬 영화에 익숙해져 있는 우리를 보면서 우리나라도 우리 고유의 소재와 스타일로 뮤지컬 장르의 영화가 더 발전 되었으면 한다.
2. 뮤지컬의 구성요소들.
[‘음악‘은 주인공들의 감정을 구체화 시킨다.]
뮤지컬에서 음악은 Key point로 가사를 통해 의미를 전달하기 때문에 노래에 대해 알고 있으면 내용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다. 조지 거쉰의 음악을 모티브로 제작된 ‘파리의 미국인’에서도 역시 리사를 사랑하는 마음을 노래할 때 제리의 노래가사에 귀기울여보면 그의 마음을 느낄 수 있다. 뮤지컬에서의 노래에도 일정한 형식이 있다. 시나리오에서 서론, 본론, 결론 등의 짜임이 있다면 뮤지컬에서도 서곡, 막간곡, 퇴장곡 등이 있고 춤을 위한 곡과 대사에 깔리는 배경 음악의 형식이 있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