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문화교육]대학의 언어 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 최초 등록일
- 2005.11.22
- 최종 저작일
- 2005.11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5,000원

소개글
대학의 언어 문화교육에 관한 고찰
목차
1. 개념설정
1.1. 문화교육
1.2 언어문화교육
1.3. 대학 내 언어문화교육의 배치
1.4. 언어교육과 문학교육
2. 문학의 빈곤과 민족문학의 과잉
2.1. 문학과가 없다
2.2. 민족문학의 과잉
2.3. 문학계보학의 실종
2.4. 문학교육에서 한국어의 실종
2.5. 교양 문학과목의 국문학 장악
3. `혼인을 빙자한 별거` : 문학교육과 언어교육의 관계
4. 외국어문학과의 불가사의들
5. `부재 지주` 효과
6. 근대적 문자문화 제도
7. 언어문화교육 재정립을 위한 개념적 단초들
7.1. 언어와 문자의 새로운 이해
7.2. 문학 개념의 새로운 설정
7.3. `문형학`의 문제설정
7.4. 한국어에 기반을 둔 문학교육
7.5. 언어교육의 제자리 찾기
8. 맺는 말
본문내용
이 글은 현재 국내 대학에서 `언어문화교육`이 어떤 모습을 하고 있는지, 그것의 문제는 무엇인지, 언어문화교육의 바람직한 방향 설정을 위해서는 어떤 성찰과 노력이 필요한지 살피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대학에서 이루어지는 언어문화교육이 어떤 꼴을 하고 있는지 파악하고, 그 특징과 문제, 한계 등을 분석하고, 더 나은 꼴을 만들어내기 위한 노력에는 어떤 작업이 요청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언어문화교육의 개념부터 분명하고 정확하게 설정하는 일일 것이다.
1.1. 문화교육
여기서 말하는 `언어문화교육` 개념은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 문화개혁을위한시민연대와 전국교직원노조가 공동으로 벌이고 있는 `대안적 교육과정 마련을 위한 연속 토론회` 과정에서 제출된 `문화교육`의 관점에서 제출된 것이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