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양근대사] 프랑스의 절대주의
- 최초 등록일
- 2005.05.28
- 최종 저작일
- 2005.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프랑스의 절대주의 시대에 관한 글입니다. 많은 분들한테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1. 유럽의 절대주의 형성
2. 프랑스의 절대주의 형성
1) 부르봉 왕조의 등장과 루이 13세
2) 프롱드의 난
3.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1) 루이 14세의 절대주의 정책
2) 베르사유 궁전의 건축과 대외전쟁
4. 절대주의의 쇠퇴와 프랑스혁명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유럽에서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등의 원인으로 중세가 무너지고 근대에 들어서면서 발전하게 된 정치체제는 절대주의였다. 절대주의는 왕의 절대적인 권한에 의한 정치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이러한 특징은 중세 시대에 지방분권적으로 영주가 배타적인 권력을 행사하여 왕이 가장 큰 영주에 불과했던 사실과 대조되는 것이었다.
근대에 이르러 유럽의 국가들은 타국가들에 대항하기 위하여 강력한 국력을 필요로 하였고 이러한 국력은 왕에 의한 강력한 중앙집권적인 정치체제에서 나타날 수 있다고 믿었던 것이다. 이러한 절대주의는 왕권신수설에 의해 뒷받침이 되었다. 왕들은 왕을 정점으로 하는 관료제를 실시하고 지방에 대하여 통제하였으며, 직속의 상비군을 두고 중상주의 정책을 바탕으로 국가의 부를 늘려 나갔다.
이러한 절대주의는 영국, 프랑스, 스페인, 프로이센, 오스트리아 등의 유럽의 각국에서 각자의 성격에 맞게 발전하였다. 절대주의는 강력한 왕에 의해 유지되었으나 귀족들과 특히, 당시 발전하는 사회계층인 시민들과의 대립을 수반할 수밖에 없었다. 시민들의 불만과 요구는 시민혁명으로 나타났으며 이리하여 영국에서는 17세기에 들어 청교도혁명과 명예혁명으로, 프랑스에서는 18세기 말에, 프랑스혁명으로 절대주의가 무너지게 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백년전쟁을 벌인 국가들이다. 백년전쟁은 영주들이 왕을 중심으로 뭉쳐지는 역할을 담당하였고 국가를 통일시켰던 것이다. 그래서 영국과 프랑스는 백년전쟁 이후 왕권의 안정으로 절대주의가 발전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루이 14세로 대표되는 프랑스는 전형적인 절대주의 국가였다.
참고 자료
다니엘 리비에르, 최갑수 옮김, 『프랑스의 역사』, 까치, 1998.
앙드레 모로아, 신용석 옮김, 『프랑스사』, 기린원, 1993.
趙景來 著, 『西洋史入門』, 일신사, 19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