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분식회계의 의의 및 원인, 방지대책
- 최초 등록일
- 2005.03.08
- 최종 저작일
- 2004.08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분식회계의 의의
2. 분식회계의 원인
3. 분식회계의 구체적인 방법
4. 기업의 분식회계 사례
5. 분식회계의 방지 대책
Ⅲ. 결론
본문내용
Ⅰ. 서론
우리는 매스컴을 통해 분식회계란 말을 많이 접할 수 가 있다. 특히나 외환위기 이후 한보철강, 대우그룹, 동아건설 등 대기업의 분식회계 규모와 그 파장에 온 나라가 홍역을 치른 쓰라린 경험을 겪고 있어 더욱 분식회계는 생소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대우그룹과 법정관리 중에 법원에 의해 파산선고를 받은 동아그룹에서 행해진 천문학적 규모의 분식회계 사실은 놀라운 것이었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은 분식회계가 일부 기업들에게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건전한 경영활동을 하고 있는 기업에게도 일상적인 관행처럼 되어버린 데 있다. 비단 기업회계기준에 의해 작성되었다고 할 지라도, 여전히 기업이 작성하는 회계자료는 임의의 조작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바, 임의로 조작된 회계자료를 보고서 기업을 제대로 판단할 수 없는 상황은 기업에 직접 대출을 해준 금융기관이나 투자자들뿐만 아니라 국민 모두에게 직접·간접으로 피해를 미친다는 점에서 시급히 해결되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최근 기업회계기준 제정권이 금융감독원에서 회계기준심의위원회로 이관되면서, 새로운 기업회계기준 제정을 위한 노력이 진행되고 있다고는 하나 쉽사리 근절되기 어려운 사회적인 문제로 분식회계가 무엇인지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자.
Ⅱ. 본론
1. 분식회계의 의의
분식회계란 기업이 고의로 자산이나 이익 등을 크게 부풀리고 부채를 적게 계상함으로써 재무상태나 경영성과, 그리고 재무상태의 변동을 고의로 조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국어사전에 분식(粉飾)이란 말은 '아름답게 또는 훌륭하게 보이기 위하여 겉을 꾸미는 것'으로 풀이되어 있다. 즉 실제 모습보다 좋게 보이도록 하기 위해 얼굴에 분칠을한다는 뜻이다. 결국 분식회계란 경영자가 기업 재무제표에 자산이나 이익을 실제보다 부풀리는 방법 등으로 회계장부를 엉터리로 만드는 것을 말한다.
참고 자료
․ 장지인 / <분식회계의 유형과 대응 방안>/ 증권 제11호, 한국 증권업협회 / 2002
․ 이명곤 / <분식회계의 현황과 해결방안> / 회계와 세무 / 2001
․ 매일경제 http://www.mk.co.kr
․ 한경닷컴 http://www.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