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일처제의 기원과 모순에 관한 총체적 접근
- 최초 등록일
- 2005.01.24
- 최종 저작일
- 2003.11
- 1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소개글
도움이 되었음 좋겠네여
좋은 참고자료로 활용해서 좋은 결과 얻으세여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일부일처제의 기원
(1) 엥겔스가 말하는 일부일처제
(2) 남성 평등화로서의 일부일처제
(3) 육아를 위한 일부일처제
2. 일부일처제의 모순 이론적으로 접근하기
(1) 맑스 엥겔스 관점
(2) 사회생물학적 관점
(3) 여성주의 관점
(4) 인류학적 관점(일부다처제, 일처다부제, 다처다부제)
3. 일부일처제 모순의 현실 표출
(1) 일부일처제의 그림자 ; 외도
(2) 일부일처제 모순의 극단적인 표출 ; 스와핑
(3) 대안적인 결혼제도는 존재하는가 ; 비독점적 다자연애 ‘폴리아모리’
Ⅲ. 결론
본문내용
Ⅱ. 본론
1.일부일처제의 기원
결혼은 미친 짓이다?! 아마 이 영화에서 말하고자 했던 결혼은 가부장적인, 그리고 경제적인 일부일처제 형태의 결혼이다. 가부장중심의 일부일처제. 오늘날 우리나라의 보편적인 결혼 형태는 일부일처제라고 할 수 있다. 일부다처제나 일처다부제 같은 결혼형태는 아직까지 많은 사람들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지구상에는 일부일처제가 아닌 다른 형태의 결혼이 더 많이 존재한다. 또한 일부일처제가 남성위주로 이루어져 있는 계약이라고 많은 사람들은 주장해왔다. 수많은 결혼 형태 중에서 초기에는 일처다부제나 일부다처제가 만연되어 있던 상황에서 어떻게 일부일처제가 생겨났고, 확립되게 되었는지는 의견이 분분하다. 먼저 가장 굳은 지위를 갖추고 있는 엥겔스의 이론을 알아보고 다른 기원설을 살펴보겠다.
(1) 엥겔스가 말하는 일부일처제
엥겔스는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에서 가부장적인 일부일처제 결혼제도의 탄생을 논했다.
일부일처제 결혼은 씨족간에 여성을 교환하는 대우혼 가족부터 적용이 가능할 것이다. 대우혼 가족에서도 일부다처제는 존재했지만 경제적 이유로 흔한 현상은 아니었고, 부부인연은 다 같이 용이하게 끊을 수 있었으나 자녀는 아직 모계 쪽이었다. 이렇게 일부일처사회가 만들어져 갈 때 아주 중요한 사건이 발생하게 되었다. 당시 재화는 개별가족이 소유하고 있었는데 농사․가축사육 등으로 가족 내 분업에서 남성의 재화(식료품, 노동도구의 획득 등)소유가 굉장히 빠른 추세로 불어났다. 그래도 이때까지는 이혼하는 경우 각자가 재화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었다. 남성은 이렇게 증가한 사유재산을 자신의 자손에게 물려주고 싶었지만 모든 사람과 성교하는 사회에서는 누가 누구의 아이인지 알 수가 없었기에 물려줄 길이 없었다. 이 때 남성은 사유재산의 소유로 강화된 지위를 이용하여 가족 형태를 자신에게 유리하게 변화시켰고 친어머니뿐만 아니라 친아버지까지 확인할 수 있는 일부일처제의 대우혼을 선호하게 되었다.
참고 자료
1. 가족, 사유재산, 국가의 기원 엥겔스, 프리드리히 아침 1995
2. 일부일처제의 신화 Barash, David P. 해냄 2002
3. 외도, 결혼제도의 그림자인가 김예숙 형성사 1995
4. 결혼과 도덕에 관한 10가지 철학적 성찰 Russell, Bertrand 자작나무 1998
5. 현대사회의 성․결혼․가족 박호강 대구대학교출판부 1999
6. 나는 일부일처제가 싫다 임혜숙 2000
7. 유럽 근대 여성사 Heide, Wunder 1995
8.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 안에서 1 또 하나의 문화 동인 1988
9. 새로 쓰는 결혼 이야기 : 밖에서 2 또 하나의 문화 동인 1988
10. 한겨레21 ‘애인, 또하나의 가족?’ 2003 7월호.
11. http://www.kinds.or.kr KINDS